新 도시재생 모델 요구 폭증
리모델링 기금조성 난항예상
'제2판교테크노밸리' 날갯짓
산업 시너지 효과 연구 필요
경기도 첨단산업 중심에서 한국판 실리콘밸리를 꿈구는 성남시는 판교·위례신도시의 개발로 인구 100만 명을 눈앞에 두고 있다.
특히 판교를 중심으로 첨단산업 클러스터가 구축됨에 따라 성남시의 위상이 크게 높아졌다. 제2판교테크노밸리, 창조경제밸리가 조성되면 대한민국의 첨단산업 메카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돼 성남시민들의 지역발전에 대한 요구치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본시가지(수정·중원구)와 분당·판교신시가지의 격차, 1기 신도시인 분당의 주거환경 노후화, 도시 인프라 부족 등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 본시가지 도시재생
=성남시는 1970년대 서울 청계천개발에 따라 이주택지로 조성됐다. 40여 년이 지난 지금, 본시가지의 주거환경이 최악으로 낙후되자 시는 3단계로 나눠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1단계(단대·중3 등)를 마무리하고 2단계(금광1·신흥2·중1) 사업에 들어갔다.
지난해 2단계 재개발구역의 시공사가 모두 선정됐으나 재건축 정비기금을 위해 시가 매년 500억 원을 출연해 5천억 원을 조성하기로 한 '성남시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기금'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주민 불만이 최고조에 달한다.
또 주민들이 부담해야 할 재개발분담금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재정착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 1기 신도시 분당 위상의 부활
=지난 1991년 수도권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성된 분당신도시는 최초 입주 25년이 지나 주거환경의 낙후가 시작됐다. 주택이 대부분 개발 초기에 지어져 재개발이나 리모델링에 대한 욕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1기 신도시에 맞는 새로운 도시재생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요구가 쏟아진다.
이재명 시장은 신도시 노후화 대책으로 5천억 원의 리모델링 지원 기금조성을 약속했지만 2014년과 지난해 100억 원 적립에 그쳤다. 올해는 200억 원만 적립할 것으로 예정돼 사업의 난항이 예상된다.
이와 함께 인접한 광주·용인·수원 광교의 인구가 폭증, 분당 도로 등 도심지 인프라도 포화상태에 달해 지역경제 발전에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 제2판교테크노밸리, 창조경제밸리의 조성과 도심공동화 해결
=판교 제1신도시의 성공적인 개발에 힘입어 제2판교테크노·창조경제밸리의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어떤 콘텐츠와 산업이 들어설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IT와 BT, CT 등 첨단산업이 유치될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지만, 단순히 기존 신도시의 확장이 아닌 시너지 효과를 누리기 위해선 충분한 연구 논의가 필요하다. 공기업의 잇따른 지방이전으로 경기침체가 우려되는 분당지역과 낙후된 도시환경, 공공기관 이전으로 도심공동화현상에 빠진 본시가지 활성화 방안 마련이 최대 과제다.
성남/김규식·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