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만 앞둔 대도시 불구
공장 난개발 기형적 도시형태
신도시·농어촌 이해관계 달라
정치인들 '공통분모찾기' 숙제
수원과 성남, 고양, 용인 등 경기도 내 대표적인 대도시들이 급속한 개발과 인구팽창을 거듭하며 '안정형' 도시에 가까워졌다면, 화성시는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는 '개발형' 도시다. 누군가에는 분명 기회의 땅이지만, 역설적으로 개발과 발전의 틈바구니에서 끝없이 신음 소리가 새어나오는 곳이 바로 화성이다.
동부권과 서부권이 극명한 대조를 보이는 지역답게, 19대 총선까지 화성의 정치지형도 역시 판이하게 갈렸다. 전통적 농어촌지역인 서부권은 여권의 철옹성으로, 동탄신도시를 위시해 신규 유입인구가 많은 동부권은 수도권의 대표적 야도로 양분됐다.
지역 여건이 다르고, 지지기반도 다르다 보니 정치권의 이해관계와 관심사도 제각각이다. 여기에 두 지역의 완충지대 격인 구 태안·봉담 일대가 화성시 병으로 분구되면서 화성시 공통의 과제, 즉 '성장통 없는 발전'과 '동서 갈등 치유'에 대한 목소리도 어느 때보다 힘이 실린다.
■ 100만 대도시? 동서화합도 함께
= 수년 전까지만 해도 평범한 도·농 복합시에 불과했던 화성시는 어느새 인구 100만명을 바라보는 수도권 대표 우량주 도시가 됐다.
경부고속도로· GTX와 연결되는 동탄은 이미 수도권 최고수준 주거지역으로 자리 잡고 있고, 환황해 경제벨트의 지식산업 발전 거점을 표방하는 서부지역은 국제테마파크와 해양관광휴양지, 말산업 특구 추진 등 굵직굵직한 사업들이 진행되고 있다.
다만 동·서부권의 여건과 이해관계가 워낙 다르다 보니, 지난 19대 총선까지 정치권의 주요 관심사는 지엽적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실제 화성 최대 현안 중 하나였던 함백산 메모리얼 파크, 국제테마파크 사업 추진과정에서 화성 정치권은 한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시민들은 명실상부한 수도권 대표도시의 면모에 걸맞게, 갑·을·병 정치인들이 화성발전의 공통분모를 찾아내고 고통치유를 위해 힘을 모으는 대승적 행보를 보여주기 기대한다.
■ 젖과 꿀이 흐르는 땅? 성장통 치유 먼저
= 화성시는 인근 평택과 함께 서해안 시대를 주도하는 지역답게 등록 공장만 6천여 개, 미등록까지 합치면 1만여개에 달한다.
한적하던 농촌 마을 곳곳에는 지난 10여년 간 우후죽순 공장과 창고가 들어섰다. 일자리도 늘고 시 세수도 확충됐다지만, 문제는 계획적 개발 보다는 개별 입지가, 실수요보다는 부동산 차익을 노린 개발이 주를 이루면서 도시 전체가 기형적 형태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이미 공장 난개발, 외국인 노동자 문제, 도시미관 저해 등에 대한 우려가 나온 지 오래다. 키 크고 몸집 커지는 데 취해, 곪고 있는 성장통을 방치하다가 자칫 치유 불능의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는 얘기다.
행정 시스템 역시 도시 팽창 속도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책임 읍·면·동제도, 구청 신설도 제자리 걸음이다. 턱없는 공공인력 부족과 체제 미비가 지속되는 현 상황에서 질 좋은 행정서비스는 요원하기만 하다.
화성/배상록기자 bsr@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