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종합어시장 이전 계획이 10여년 넘게 표류하고 있다. 지난 10년 간 2차례 '어시장이전추진위원회'가 구성됐지만, 대체 부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천종합어시장은 41년 전인 1975년 12월 인천 중구 북성동에서 항동 7가로 이전했다. 현재 전체 9천700㎡의 부지 중 7천600㎡ 부지에 500개 점포가 들어서 있다.
인천종합어시장 이전 계획이 나온 것은 지난 2005년. 건물 외벽이 기울고, 기둥에 금이 가는 등 안전 문제가 불거졌다. 그 사이 수차례에 걸쳐 안전시설을 보강하고, 점포 시설도 단장했지만 40년 넘게 사용하면서 건물 노후가 심각해 이전이 불가피해졌다.
게다가 주말에 1만5천명 이상의 고객이 찾아 좁은 도로에 차량이 몰려 혼잡을 이루는 데다 주차장도 부족해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상인들은 지난 2006년 어시장 이전을 논의하고 당시 전체 점포 중 76%의 찬성을 받아 자체적으로 800억원의 사업비를 마련키로 하고 본격적인 이전 계획을 추진했다. 이에 어시장 측은 시에 이전 협조를 구했고, 그 해 12월 당시 국방부, 해양수산부 등과 협의를 거쳐 북성동 인천해역방어사령부(이하 인방사)로 이전을 검토했다.
이후 2009년 인천시와 국방부, 국토해양부가 2015년까지 인방사를 다른 곳으로 이전하기로 최종 합의하고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어시장 측과 인천시, 국방부, 해수부는 인방사 22만8천㎡ 부지에 종합수산유통단지를 조성키로 하고 '인천항 종합발전계획'을 마련했다.
인방사 이전 대체 부지로는 송도국제도시 남쪽에 위치한 인천신항과 중구 무의도 일대 2곳을 선정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소는 인천신항 이전에 4천800억원, 무의도 이전은 6천300억원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이전 비용을 놓고 인천시와 국방부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어시장 이전 계획이 미뤄졌다.
당시 인천시는 재정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1천200억원에 이르는 이전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여기에 송도국제도시 주민들도 인천신항 주변에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 저장시설이 있는 상황에서 군부대가 들어서면 전쟁이나 테러 등에 대한 위험이 크다고 반대하고 있다.
어시장 상인들은 새로 조성하는 종합어시장은 반드시 어선이 접안 할 수 있는 어항기능과 복합관광시설을 갖추기를 원하고 있다. 어시장 측은 아직도 인방사 부지를 가장 선호하고 있다. 뒤를 이어 남항 선광부두, 석탄부두, 유선부두를 지목했다. 국가 소유인 연안여객터미널 1부두와 관공서 부두도 거론되고 있다.
어항기능을 갖춘 곳으로 인방사 다음으로 최적지로 꼽히는 선광부두는 현재 사용하지 않고 있어 바로 사업추진이 가능하고 접근성도 편리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전 계획이 세워진 석탄부두도 접근성이 뛰어나지만, 부두 이전이 2018년 이후에나 가능한 상황이다.
남항 유선부두는 어항기능에 손색이 없고 접근성도 좋지만, 부지가 좁아 일부를 매립해야 한다. 연안여객터미널1부두와 관공서부두는 국가 소유여서 어시장 측이 매입하거나 현 어시장 부지와 대토해야 하는 문제가 있어 사업 추진에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 거론되는 인천항 인근 현대 소유의 132만㎡ 부지는 어시장 측이 원하는 어항기능 등이 떨어져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어시장 측은 인천발전연구원에 어시장 이전 연구용역을 의뢰한 상태다. 최종 연구 결과는 5~6월쯤 나올 예정이다.
인천시도 어시장 대체 부지에 대해 다각적인 검토를 벌이고 있다. 수산물 도매기능과 물류, 관광, 어항, 외국인 관광객 유치 등 다기능을 갖추기 위해선 최소 6만6천㎡ 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보고 마땅한 장소를 물색 중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달 중 어시장상인회와 함께 인천발전연구원으로부터 연구용역 중간발표를 들을 예정"이라며 "최종적으로 2~3곳의 이전 대상지를 추려 장단점을 보완한 뒤 이전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진호·이현준기자 provinc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