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은 지난 2010년 지방선거에서 전국 차원의 선거 연대를 성공적으로 실험한 이후 주요 선거 때마다 후보 단일화를 필승의 카드로 내세웠다.

야권 연대는 유권자도 공감하는 '아름다운 단일화'의 경우 야권표를 집결하며 큰 위력을 발휘했지만, 정치공학적 필요에 따라 마지못해 하는 연대는 유권자 거부감으로 효과가 제한적이기도 했다.

이번 4·13 총선에서도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등에서는 야권 연대를 강하게 주장하지만,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의 완강한 반대 입장과 촉박한 시간 탓에 성사 여부는 물론 성사되더라도 기대만큼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미지수다.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은 지난 2012년 4·11 총선을 한 달 앞둔 3월 10일 야권 연대 협상을 극적으로 타결했다.

양당은 통진당 후보로 단일화될 전략지역 16곳과 양당 후보자 간 경선지역 76곳을 선정했고, 이는 박빙의 승부가 벌어진 수도권 승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당시 48석이 걸린 서울 선거에서 민주당이 30석, 통진당이 2석을 차지했고 새누리당은 서초·강남·송파를 중심으로 16석을 확보하는데 그쳤다.

경기(52석)에서도 야당이 31석(민주당 29석, 통진당 2석)을 얻어 새누리당(21석)에 우위를 점했고, 인천에서는 새누리당 6석, 민주당 6석으로 팽팽했다.

그러나 이후 야권 연대는 2013년 통진당의 종북논란으로 제동이 걸렸고, 지난 2014년 7·30 재보선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과 정의당이 수도권 판세를 뒤집기 위한 막판 카드로 단일화를 성사시켰지만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서울 동작을에서는 정의당 노회찬 후보의 '사퇴 배수진'에새정치연합 기동민 후보가 어쩔 수 없이 사퇴하는 모양새가 된 데다가 투표용지가 이미 인쇄된 후에 단일화가 이뤄지면서 뒤늦은 단일화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 때문에 야권에서는 선거연대가 이뤄지더라도 효과를 보기 위해선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는 교훈을 얻게 됐다.

그러나 이번 총선은 선거일이 한 달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단일화 논의에 전혀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19대 총선 당시 민주당과 통진당이 협상을 2월 중순에 시작, 최종 합의까지 22일이 걸린 점을 고려하면 시간이 촉박하다. 20대 총선일까지 한 달이 남았지만 오는 24~25일 후보등록이 시작되는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후보단일화를 위한 협상시한은 13일이 채 남지 않은 것이다.

더군다나 이번에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3자가 관련돼 단일화 방정식이 더 복잡해졌다.

특히 각 당이 공천을 상당 부분 마친 상황이어서 중앙당 차원에서 연대를 밀어붙일 경우 각 후보들이 이에 반발할 경우 '상처뿐인 단일화'로 귀결될 우려도 있다.

그럼에도 야권에서는 단일화를 꼭 성사시켜야 한다는 요구가 적지 않다. 특히 19대 총선에서 3% 이내의 득표율 차로 승부가 갈린 접전지역 24곳은 단일화 없이 이기기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더민주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아름다운 단일화는 불가능해졌지만, 단일화를 안 하면 더 질 수밖에 없다"면서 "특히 전체 승부에 영향을 미치는 접전지역에서는 분명한 효과가 있기 때문에 무조건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국민의당의 경우 천정배 공동대표가 당무를 거부하고, 김한길 공동선대위원장이 자리를 내던지면서까지 야권통합·연대를 요구하고 있지만 안 대표가 "통합이나 연대는 없다"며 '마이웨이'를 고수하고 있어 현재로선 전면적인 야권연대 성사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관측이다.

다만 더민주와 정의당간 부분적 연대 또는 각 지역선거구 단위에서 야권 후보들간의 자율적인 후보단일화 가능성은 남아 있어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 성사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