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정부 '항만 현안' 협력 강화
지역발전 논의 상시기구 구성키로
내항1·8부두 재개발 등 소통 활발
'섬 프로젝트'도 TF팀 맞손 시너지
입력 2016-04-10 22:59
수정 2016-04-10 22:59
지면 아이콘
지면
ⓘ
2016-04-11 6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인천시와 항만 당국이 인천항 현안해결과 지역발전 등을 위해 상시기구를 구성하기로 했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임현철 청장은 "인천해수청과 인천시가 참여하는 (가칭)'항만 행정협의회'(이하 협의회)를 구성, 협의회에서 인천항과 관련한 현안을 지자체와 지속적으로 논의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10일 밝혔다.
인천항은 지역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관리와 운영은 정부가 담당하고 있어, 자치단체는 물론 지역사회와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협의회가 구성되면 항만 및 주변 개발과 관련한 항만 당국과 자치단체의 소통이 더욱 활발해 지는 등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협의회에서는 인천항의 현안인 인천 내항 1·8부두 재 개발사업과 아암물류 2단지 조성사업 등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시 정재덕 해양항공국장은 "항만 정책협의회는 인천항과 인천시 모두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단순한 논의차원을 넘어 구체적인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경제부시장과 인천해수청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고 말했다.
인천시가 관광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섬 프로젝트'와 관련해서도 항만 당국이 힘을 보태기로 했다.
인천해수청은 이에 인천시, 인천관광공사, 옹진군 등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팀 구성을 제안했다.
인천해수청은 섬이나 해양관광 활성화는 해양수산부의 정책방향에도 부합하고, 특히 인천시의 '섬 프로젝트' 활성화는 국가의 해양레저 발전으로 이어지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해양개발연구원(KMI)의 관광전문가와 인천시·인천관광공사의 관계자들이 머리를 맞대면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란 예상이다.
임현철 인천해수청장은 "인천의 발전은 결과적으로 국가의 발전으로 이어진다"며 "다양한 방법으로 인천시와의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
인천지방해양수산청 임현철 청장은 "인천해수청과 인천시가 참여하는 (가칭)'항만 행정협의회'(이하 협의회)를 구성, 협의회에서 인천항과 관련한 현안을 지자체와 지속적으로 논의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10일 밝혔다.
인천항은 지역에 위치해 있으면서도 관리와 운영은 정부가 담당하고 있어, 자치단체는 물론 지역사회와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협의회가 구성되면 항만 및 주변 개발과 관련한 항만 당국과 자치단체의 소통이 더욱 활발해 지는 등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협의회에서는 인천항의 현안인 인천 내항 1·8부두 재 개발사업과 아암물류 2단지 조성사업 등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시 정재덕 해양항공국장은 "항만 정책협의회는 인천항과 인천시 모두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단순한 논의차원을 넘어 구체적인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경제부시장과 인천해수청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고 말했다.
인천시가 관광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섬 프로젝트'와 관련해서도 항만 당국이 힘을 보태기로 했다.
인천해수청은 이에 인천시, 인천관광공사, 옹진군 등이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팀 구성을 제안했다.
인천해수청은 섬이나 해양관광 활성화는 해양수산부의 정책방향에도 부합하고, 특히 인천시의 '섬 프로젝트' 활성화는 국가의 해양레저 발전으로 이어지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국해양개발연구원(KMI)의 관광전문가와 인천시·인천관광공사의 관계자들이 머리를 맞대면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란 예상이다.
임현철 인천해수청장은 "인천의 발전은 결과적으로 국가의 발전으로 이어진다"며 "다양한 방법으로 인천시와의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운기자 jw33@kyeongin.com
관련기사
-
시민에 개방된 내항8부두 활용 방안 적극 논의해야
2016-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