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과 함께 치러지는 경기 양주시장 재선거에서 '토박이 공직자·여권 성향 후보 당선'이라는 공식이 깨질지 관심이다.
지난 22년간 양주시장 당선자는 여권성향에 지역에서 공직생활을 한 행정관료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모두 양주시에서 국장을 하거나 부단체장을 지낸 뒤 시장에 당선됐다.
2006년 지방선거에서 임충빈 전 시장이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전신) 공천을 받지 못해 무소속으로 출마, 당선된 것을 제외하면 역대 시장들이 모두 여권의 공천을 받았다는 공통점도 있다.
이번 보궐선거에서는 모두 3명의 후보가 나섰다.
새누리당 정동환(61) 후보, 더불어민주당 이성호(58) 후보, 여권 성향의 무소속 이항원(59) 후보다.
정동환 후보와 이성호 후보는 행정 관료 출신으로, 고교 동문인데다 양주시에서 국장을 지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항원 후보는 도의원을 지낸 비 행정관료 출신으로, 새누리당 공천을 받지 못해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출신으로 보면 행정관료 출신 2명에 비 행정관료 1명, 성향면에서는 여권 성향 후보 2명에 야당 후보 1명인 셈이다.
정동환 후보가 당선되면 '토박이 공직자·여권성향'이라는 당선 공식은 이번에도 이어진다.
그러나 이성호 후보가 당선되면 '여권 성향' 후보 당선이라는 틀은 깨진다.
또 이항원 후보가 당선되면 사상 첫 비 행정관료 출신 양주시장이 된다.
투표일을 하루 앞둔 12일 선거 판세는 정동환 후보와 이성호 후보가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접전을 펼치는 가운데 무소속 이항원 후보가 선전을 펼치는 모양새다.
양주는 전통적으로 여당 성향이 강한 곳이다. 그러나 최근 고읍·옥정지구 개발로 서민층 유입이 크게 늘어 야당의 지지층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어서 유권자의 표심이 어디로 쏠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연합뉴스
지난 22년간 양주시장 당선자는 여권성향에 지역에서 공직생활을 한 행정관료 출신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모두 양주시에서 국장을 하거나 부단체장을 지낸 뒤 시장에 당선됐다.
2006년 지방선거에서 임충빈 전 시장이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전신) 공천을 받지 못해 무소속으로 출마, 당선된 것을 제외하면 역대 시장들이 모두 여권의 공천을 받았다는 공통점도 있다.
이번 보궐선거에서는 모두 3명의 후보가 나섰다.
새누리당 정동환(61) 후보, 더불어민주당 이성호(58) 후보, 여권 성향의 무소속 이항원(59) 후보다.
정동환 후보와 이성호 후보는 행정 관료 출신으로, 고교 동문인데다 양주시에서 국장을 지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항원 후보는 도의원을 지낸 비 행정관료 출신으로, 새누리당 공천을 받지 못해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출신으로 보면 행정관료 출신 2명에 비 행정관료 1명, 성향면에서는 여권 성향 후보 2명에 야당 후보 1명인 셈이다.
정동환 후보가 당선되면 '토박이 공직자·여권성향'이라는 당선 공식은 이번에도 이어진다.
그러나 이성호 후보가 당선되면 '여권 성향' 후보 당선이라는 틀은 깨진다.
또 이항원 후보가 당선되면 사상 첫 비 행정관료 출신 양주시장이 된다.
투표일을 하루 앞둔 12일 선거 판세는 정동환 후보와 이성호 후보가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접전을 펼치는 가운데 무소속 이항원 후보가 선전을 펼치는 모양새다.
양주는 전통적으로 여당 성향이 강한 곳이다. 그러나 최근 고읍·옥정지구 개발로 서민층 유입이 크게 늘어 야당의 지지층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어서 유권자의 표심이 어디로 쏠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