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이 20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원내 1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이 맡아야 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은 가운데 새누리당도 무소속을 복당시켜 제1당을 만든 뒤 국회의장직을 '사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우선 새누리당은 여소야대가 된 상황에서 국회의장직까지 야당에 내주면 국회운영의 주도권을 상실할 수 있다며 무소속 의원들을 조기 복당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더민주와 국민의당이 연대할 경우 과반을 넘지 못해 국회의장직을 포기하는 대신 상임위원장 배분협상 때 여당에 유리하도록 실리를 취하자는 목소리도 나온다.

역대 국회에서는 원내 제1당에서 입법기관 수장인 국회의장을 배출해 왔는데 이는 법에 명시된 사안이 아니라 일종의 관례였다.

새누리당이 무소속 의원 일부를 복당시켜 제1당이 되더라도, 더민주와 국민의당이 손을 잡고 표결에 들어간다면 새누리당은 국회의장직을 야당에 내줄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통상적으로 여야가 1명씩 나눠 맡아 온 국회부의장 2석 중에서 야당 몫 국회부의장 자리를 더민주가 국민의당에 양보하는 방식으로 두 당이 연대할 가능성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야당 내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새누리당에선 일단 반발의 목소리가 크다. 새누리당 일부에선 지난 2000년 당시 16대 전반기 국회에서 제1당인 한나라당을 제치고 제2당이지만 여당인 민주당 소속의 이만섭 의원이 국회의장에 선출된 사례를 거론하며 새누리당이 국회의장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새누리당이 원구성 전에 무소속 의원을 영입해 제1당이 되면 당연히 국회의장을 새누리당이 맡아야 한다는 논리다. 그러나 새누리당으로선 현실적으로 국회의장 자리를 지켜낼 방안이 없을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국회의장직 배분에 대해선 국민의당이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다는 관측이 높다.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는 지난 18일 국회의장직 관련 "4·13 총선에서 나타난 민심에 따르는 게 순리 아니겠느냐"며 현재로선 더민주의 손을 들어줄 것임을 시사했다.

하지만 18개의 상임위원장 자리를 놓고 복잡한 셈법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돼 국민의당이 끝까지 더민주의 편에 설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다.

여야가 국회의장 자리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는 가운데 새누리당에선 8선의 최다선인 서청원(화성갑) 의원이 '0순위'로 거론되고 있고, 민주당에선 6선의 문희상(의정부갑)·이석현(안양동안갑) 의원이 거론되고 있다.

/정의종·황성규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