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도 타지업체 독차지로 고사
관계당국, 지역업체 보호 위해
민간이 주도하는 대형공사에
'의무 공동도급제' 같은
제도 보완과 적극적 관심 필요

간만의 차가 심했던 황무지 갯벌에 인구 300만 인천을 이룬 '무형의 가치'는 형언조차 할 수 없고, 도시 연혁의 연륜은 짧아도 이 나라 개화기 주역의 발자취는 일일이 열거할 여지가 없다.
비류(沸流)의 미추홀(彌鄒忽) 건국이 척박한 풍토로 펴지 못했음과 오늘의 송도국제도시가 대비되는 까닭이다. 아마 비류의 혼령은 벽해상전(碧海桑田)의 변화에 감탄하리라.
다만 여기에 나서는 성찰은 영광의 그늘에 가려진 시행착오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과연 건설 수레바퀴를 굴려가는 동안 초지일관의 자세를 온전히 지켜나가고 있는가가 미심쩍다.
흔히 인천사람을 가리켜 '짠돌이'이라 빈정댔지만 지금은 그 표현이 걸맞지 않다. 다양한 지역 출신 성분으로 말미암아 오히려 각기 지닌 특성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니 말이다.
'인천 최초'는 '한국 최초'라는 긍지를 지니고 남는데도 타지에 비해 향토의식이 희박한 것이 흠이다. 알게 모르게 스스로 인천인 임을 숨기려는 자기 비하심마저 없지 않으니 정체성이 훼손될 수밖에. 더불어 한 발 물러선 방관적 자세는 대립과 파벌의식의 온상으로 변질되기 십상이라는 것이다.
이에 문득 떠오르는 대목은 왕년 회자했던 우스갯소리다. 같은 거리를 놓고도 서울서 인천은 멀어 보였고 반대로 인천서 서울은 가까워 보인다니.
실제로 서울서 택시를 잡고 목적지가 인천이라면 기피하기 다반사였다. 당시 인천의 도로환경의 취약성을 감안할 지라도 심리적 차별화가 더 컸던 모양이다.
오늘날 인천이 육해공을 아우르는 관문으로 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지만 인천은 아직도 통과지라는 인식이 크다. 한마디로 지역 역차별 요인은 중앙집권의 그림자에 드리운 이 지역에 대한 근시안적 인식과 무관치 않다.
타 지역과 대비되는 것으로 인천지역 관급, 민간건설 공사에서도 통과지라는 상황이 재연되고 있음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일례로 롯데, 신세계, 현대 등의 대형유통업체들은 막대한 지역 자금을 흡수하면서도 송도, 청라 등 신설 대형 아웃렛 등의 신축공사 시 지역 건설업체 등을 배려하지 않고 인천에서 벌어들인 돈이 지역의 부가가치에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외지 대형건설 시공사들은 지역건설업체들과 상생을 기피하여 지역 자금의 유출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이런 맥락에서 그간 이런저런 불이익을 감수해온 향토건설업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까닭이다. 한마디로, '인천인'이라는 긍지와 소명의식이 굳건한들 어찌 상부상조의 기풍이 희석될 것인가.
오늘날 인천이라는 거대 도시 생성은 초지일관의 노력이 맺은 현대판 '우공이산'에 버금가지 않는가. 인천은 동북아시아의 요충이라 외풍이 세지만 오늘의 영광은 오롯이 인천시민과 향토 건설인들의 불굴의 노력으로 이룩한 것이라 자부한다.
올해 인천지역의 관급공사 발주물량이 작년 대비 반토막으로 줄었고 민간공사도 대부분 타지 1군업체가 독주하고 있어 향토건설기업은 현재 고사상태에 허덕이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라도, 관계 당국은 구호성 행사보다는 실천 가능한 방안, 즉 민간주도 대형공사에 의무 공동도급제와 같은 지역 업체 보호 등의 제도적 보완과 적극적인 관심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기초 터전에 세운 기둥은 흔들리지 않는다. 향토건설기업이 살아남도록 거듭 지원과 제도적 개선을 강조한다.
/이덕인 대한건설협회 인천광역시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