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적정보는 근거를 이루는 바탕역할
1. 논증을 왜 배워야 할까?

학생 중에는 논술 공부를 하려면 논리 법칙들도 많이 알아야 하는지 궁금해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필요한 만큼만 알면 됩니다. 그럼에도 여러분들이 논증을 배워야 하는 이유는 논증을 알아야 자신이나 다른 사람이 쓴 글이 논리적으로 맞는지 검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논증형식을 갖추게 되면 주장과 근거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되고 자연스럽게 이 전제에서 이와 같은 결론이 어떻게 나오게 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2. 논증의 요소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논증의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말하고자 하는 핵심이 무엇인가? (주장)
-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어떤 이유를 들고 있는가? (근거)
- 근거를 뒷받침해주는 구체적인 자료는 무엇인가? (구체적 정보/ 구체적 사례)
- 근거와 주장을 이어주는 원칙은 무엇인가? (숨은 전제)
'주장'과 '근거'는 논증의 기본적인 틀이 됩니다. '구체적 정보(사례)'는 근거를 뒷받침해주는 객관적인 사실이나 자료들을 말합니다. '숨은 전제'는 주장과 근거 사이에 존재하는 논리적 관계를 설명해 줍니다. 삼단 논법과 비슷합니다.
삼단논법에서 결론은 주장이며, 근거는 소전제에 해당하고, 숨은 전제는 대전제에 해당합니다. 각 논증 요소 간의 관계를 도표로 그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 도표의 핵심은 주장은 근거에 바탕을 두고, 근거는 구체적 정보에 바탕을 둔다는 것입니다. 이 도표를 보면서 '구체적 정보가 근거를 이루는 바탕이라면 굳이 근거를 제시하지 않고 주장 다음에 바로 구체적 정보를 제시하면 되지 않을까?', '근거와 구체적 정보는 뭐가 다른 거지?'라는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습니다.
논술 시험에 제시되는 자료들을 예로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논술 시험에서는 논제와 함께 각종 도표 자료와 예시문 등이 제시됩니다. 자료 중에는 논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연관 관계가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은 자료들이 제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말하자면 제시된 자료들은 직접적으로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이때 '근거'는 이런 구체적 정보들이 주장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그 '의미'를 설명해 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따라서 각종 예시문이나 도표 자료가 주어질 때 이를 주장과 직접 연결하기보다는 제시된 자료(구체적 정보)가 주장과 어떤 점에서 관련이 있는지를 설명해 주는 근거를 통해 연결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 시간에 다뤘던 제시문을 주장, 근거, 구체적 정보로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습니다.
주장 : 인구 노령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
이유 : 인구 노령화는 경제 활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해 국가 경쟁력을 상실하게 만들 것이다.
↑
구체적 정보 : ①청년층 인구 감소로 노동력 부족 현상
②사회 복지 부담금 및 의료비 지출이 증가
③노인 부양 부담으로 가계 저축률 저하
다음 시간에는 숨겨진 전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장우 박문여고 교사
※위 논술카페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