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4·16 교육원(가칭)' 건립사업을 놓고 팽팽하게 맞섰던 경기도·도교육청(경인일보 4월 25일자 3면 보도)이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키로 최종 합의했다. 다만 논란이 됐던 교육원의 명칭과 사업비 부담비율 등에 대해서는 추가 논의를 통해 결정할 방침이다.

남경필 도지사, 이재정 교육감, 제종길 안산시장, 관련 기관 및 단체 7곳의 대표는 27일 도청에서 단원고 교육 정상화 방안에 대해 이같이 큰 틀에서 합의하고 협약식 일정을 확정했다.

협약식은 내달 9일 안산 정부합동분향소 앞에서 열릴 예정이며 협약식에는 도, 도의회, 도교육청, 4·16 가족협의회, 안산시, 안산교육지원청, 단원고교 등 이날 모였던 7곳이 참여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협약식에서 공개된다.

앞서 지난 15일 같은 장소에서 '4·16 교육사업 협약식'이 열릴 예정이었다가 남 지사의 불참으로 무산됐다.

당시 도는 불참이유로 "교육청에 예산을 지원할지가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지만 새누리당 도의원들의 반발이 주된 이유로 꼽혔었다.

협약문은 지난달 8일 존치교실 관련 3차 협의회에서 나온 '제안문'을 토대로 작성될 것으로 보인다. 협약문에는 단원고 존치교실 내 '기억 물품' 등을 안산교육지원청 강당에 원형 그대로 임시로 이전해 뒀다가 교육원이 건립되면 다시 옮겨 영구보존하는 방안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교육원 부지는 안산시가 제공하고 단원고 내에 추모조형물을 설치한다는 내용도 포함될 예정이다.

다만 명칭, 사업비(90억원) 부담비율 등은 협약식을 갖는 오는 5월9일 전까지 추가 협의를 통해 결정할 방침이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구체적인 내용까지 합의된 것은 아니다"며 "논란의 대상이었던 '명칭'은 공모를 하거나 관련 기관 7곳의 협의를 통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도 관계자는 "기관들 간에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며 "내달 9일까지 최대한 노력해 합의를 마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강기정·조윤영·전시언기자 coo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