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 평가·객관적 채점 위한 고육책

답안으로 형성된 글 내용이 올바른 방향으로 구성됐는지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입학시험의 공정한 평가와 답안의 객관적 채점을 확보하려는 고육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여하튼 요약하기에서 가장 많이 공부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유는 출제자의 의도가 뚜렷하게 나타나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의 제시문을 문제의 조건에 맞게 요약해보기로 합시다.
■ 긴글 요약하기 제시문
[문제] 글 [가]를 '대체'와 '보완'의 개념을 적용하여 요약하라. (200자 이내)
[가] 지구온난화는 모든 환경 문제의 근원이다. 로마클럽의 획기적인 보고서 '성장의 한계(Limits to Growth ; 1972)와 그에 대한 토론은 예기치 못한 부작용을 낳았다. 기업인들이 자원을 하나의 생산요소로 생각하기 시작한 것이다. 언론에서 그 책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방식은 사람들의 두려움을 자아냈다. 언론은 자원의 고갈과 자원의 부족 문제를 집중 조명했다. (중략)
경제학자들은 '성장의 한계'라는 주장을 '대체 가능성(substitutability)'으로 논박했다. 구리가 고갈되면 광섬유를 만든다. 석유가 바닥나더라도 200년간 사용 가능한 천연가스가 있다. 천연가스를 다 써버리면, 석탄을 기화해 500년간 사용할 수 있다. '어떤 문제든 해결 가능하다'는 태도다. 실제로 일부 경제학자들은 어떤 자원이 고갈되면 새로운 성장 동력, 즉 새로운 기회와 직업 그리고 혁신과 특허가 창출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들이 잊은 것이 있다. 바로 '보완성(complementarity)'이다. 보완적 시스템은 대체 가능한 시스템과는 전혀 다르다. 경제학은 대체성에 대한 학문이므로 모든 것을 대체 가능성이란 잣대로 생각한다. 하지만 생태계는 보완적이지 대체 가능한 것이 아니다.
보완성 개념을 쉬운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다. 어떤 사람이 겨울에 산속에서 조난을 당했다고 하자. 그가 살기 위해선 음식과 물과 온기 등 세 요소가 필요한데, 이 가운데 어느 것도 대체 가능하지 않다. 세 가지 가운데 공급량이 가장 적은 요소가 생존을 제약한다. 비상 식품이 있고 눈으로 만든 동굴에서 기거할 수 있더라도 마실 물이 없다면 얼마 버티지 못한다. 물이 충분하고 온기 유지가 가능하더라도 음식이 없으면 죽고 만다. 음식과 물이 있더라도 눈보라에 노출된다면 죽는다.
-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GBN) 회원들, 'What's Next? 2015'에서
■대체와 보완의 개념으로 중심 문장 요약.
제시문 안에서 볼 때 가장 중요한 단락은 세 번째 단락입니다. '그러나'란 역접 접속사가 이끌고 있는 문장이기 때문입니다. 역접 접속사가 쓰이는 경우 앞 문장과 대비되는 핵심 내용이 들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둘째 문단에서는 경제학자들이 에너지 고갈의 문제를 '대체 가능성'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단락에서는 이와 다른 '보완성'이란 단어를 제시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생태계 자원은 완전히 대체할 수 없으며 보완적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문제에서 요구한 것처럼 대체와 보완의 개념을 적용해 중심 문장을 구성해 보도록 합시다. [가] 제시문의 중심 문장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자원의 고갈 문제를 대체의 개념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설명하는 것을 보완의 개념을 적용해 비판하고 있다.'
■중심 문장의 근거는?
작자는 이러한 중심 내용의 근거를 네 번째 문단에서 제시하고 있습니다. 생태계 생존 조건으로 음식, 물, 온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3가지 중 어느 하나도 서로 대체되는 것이 아니며 모든 것이 같이 공존해 보완될 때 생존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근거로 뒷받침될 수 있는 문장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생태계의 변화는 완전히 대체될 수 없는 보완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대체라는 개념은 새로운 것이 기존의 것을 완벽하게 대신할 수 있는 경우지만, 기존의 것의 일부만을 대신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을 경우 보완의 개념으로 설명해야 한다.'
■예시답안
에너지 자원의 고갈 문제를 대체의 개념으로 극복할 수 있다고 설명하는 것을 보완의 개념으로 비판하고 있다. 생태계 변화는 완전히 대체될 수 없는 보완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대체라는 개념은 새로운 것이 기존의 것을 완벽하게 대신할 수 있는 경우지만 기존의 것의 일부만을 대신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을 경우에는 보완의 개념으로 설명해야 한다.
앞으로 연재되는 이 기사가 학생 여러분들이 논술 실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지면 관계상 싣지 못한 참고 자료들은 아래 인터넷 홈페이지 자료실을 이용해 참고하길 바랍니다. http://cafe.naver.com/songsks7 - <경인신공 독자와 함께>
/송기식 박문여고 교사
※위 논술카페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