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관점의 기준 세우면 쉽게 눈에 보여
주장 대조후엔 '근거'로 부연설명 해줘야


논술카페-송기식
송기식 박문여고 교사
비교하기는 각 제시문의 쟁점과 중심문장을 파악한 후 같은 범주 안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는 것입니다. 차이점을 찾기 위해서는 관점이나 기준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드라마 '태양의 후예'에 나오는 송중기와 송혜교는 배우라는 직업이 공통적이지만, 다른 점의 기준은 성별입니다. 이렇듯 쟁점을 통해 공통점을 찾고 이를 유추해 관점이나 기준의 차이를 세우면 차이점이 보입니다.

[문제] 제시문 (가)와 (나)를 비교하여 서술하라. (300자 이내) <가톨릭대 문제 발췌>

(가) 사극이 인기리에 방영되면 역사 왜곡 논란이 종종 뒤따른다. 이는 사료가 매우 적고 그 기록도 한두 줄에 불과 한 고대사(古代史)의 사건·인물이나, 비록 사서에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지만, 진위 논란에 휩싸여 있는 사건·인물에 관해서도 사극을 제작하기 때문이다. <중략> 사실, 제작진은 역사학자가 아니기에 사극을 통한 역사교육의 책임까지 감당할 필요가 없으며, 역사에 대해 수많은 이견을 모두 참조하여 드라마를 제작할 수도 없다. 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사극에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사극은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역사 속 사건이나 인물에 대하여 관심을 불러일으키곤 한다. <후략>

(나) 일본 문부과학성이 통과시킨 2002학년도 중학교 역사교과서 8종 가운데 '새역사교과서를만드는모임'이 편찬한 역사교과서는 한일관계 역사를 심각하게 왜곡하였다. 예컨대 문제의 교과서는 일본 군국주의자들이 19세기 말 대한제국을 침략할 때 소위 '황국사관'이라는 침략주의 사관에 의거해 날조한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설을 채택하였다. <중략>이 교과서는 1910년 한국 강점이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라 고대의 '임나일본부'와 같은 것을 다시 복구하여 설치한 것이라고 정당화하였다. <후략>

■ 공통점을 찾아라

우선 각 제시문의 중심내용을 구성해야 합니다. (가) 제시문의 중심내용은 역사 왜곡의 허용에 대해 긍정하고 있습니다. 반면 (나) 제시문은 역사 왜곡의 허용에 대해 비판적입니다. 두 제시문의 공통점은 어떻게 찾을까요? 각 제시문의 중심 내용에서 차이를 형성하는 평가 내용을 빼면 됩니다.

두 제시문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두 제시문은 공통으로 역사 왜곡의 허용에 관해 서술하고 있다.

■ 공통점을 유추해 차이의 기준을 세워라

차이점을 찾기 위한 비교 기준은 어떻게 구성할까요? 기준은 공통점에서 유추해 찾을 수 있습니다. 정리해 보면, 역사 왜곡을 허용할지 여부입니다. 그 기준에 맞춰 각 제시문의 주장을 비교해 서술해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역사 왜곡을 허용할지에 관해 (가)에서는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나)에서는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 근거를 찾아 뒷받침하라

차이 기준을 찾아 주장을 비교했으면, 다음에는 차이 근거를 찾아 뒷받침 문장으로 부연 설명해야 합니다. 다음 문장으로 근거를 정리할 수 있습니다. (가)에서 역사 왜곡이 가능한 일이라고 주장한다. 사극은 대중의 관심을 유발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실을 중시하는 역사학의 책임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반면 (나)에서는 역사 왜곡이 심각한 문제라고 주장한다. 일본이 역사를 교육하기 위한 교과서에서 사실(史實)을 왜곡하고 그들의 과거 침략을 미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 예시답안

두 글은 역사 왜곡의 허용 여부에 대해 다르게 서술하고 있다. 역사 왜곡의 허용에 관해 (가)에서는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지만 (나)에서는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가)에서 사극은 대중의 관심을 유발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실을 중시하는 역사학의 책임에서 자유로워 역사 왜곡이 가능한 일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나)에서는 일본이 역사를 교육하기 위한 교과서에서 사실(史實)을 왜곡하고 그들의 과거 침략을 미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라고 주장한다.

/송기식 박문여고 교사


※위 논술카페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