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0601000329900015012

그는 병난 시계처럼 휘둥그레지며 멈칫 섰다.

박용철(1904~1938)

2016060601000329900015011
권성훈 (문학평론가·경기대 교수)
세계의 시간은 흐름에 따라 기록되지만 개인의 시간은 의미와 마주쳤을 때 기억된다. 이를테면 기록은 세계의 역사지만 기억은 개인의 역사일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개인의 역사는 세계의 역사에 선행한다. 개인에게 시간의 의미는 예측 불가능한 상태에서 산출될수록 오래토록 남아있기 마련이다.

물론 그 시간은 지금-여기라는 공간의 장소에서 만나는바, '시공간'에서 벌어지고 재생된다. 개별적인 시간을 가지고 사는 우리에게 주요하게 남아있는 시간의 의미는 하나의 사건이며, 이 사건은 기억으로 저장된 것이다.

눈물로 밤을 지새우며 뼈아픈 이별을 해본 당신도 헤어진 사랑을 예상치 못한 장소에서 만났을 때 순간적으로 초점이 "휘둥그레지며 멈칫"했다. 그 후 정지된 시계처럼 얼어붙은 당신의 사랑을 캐내려고 하지 않았는데도, 문득 문득 무의식의 저편에서 찾아온다. 이른바 운명처럼 마주치게 되는 '해후'라는 '기억의 장치'는 고장 난 시간과 같이 불연속적인 '이별의 공식'으로 돌아오고 돌아가고 있다.

/권성훈(문학평론가·경기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