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업지시서 일관성 부족
성과위주 아닌 철학 공유
인천시 충분한 논의 조언
지역현장 이야기 청취도
인천시가 추진 중인 '문화도시 종합발전계획'이 인천의 문화 비전을 담아내기 위해서는 시가 발주한 관련 연구용역의 과업 내용부터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전문가들로부터 나왔다.
지난 14일 오후 3시 인천대학교 문화대학원(원장·김용민 교수) 주최로 인천대 인문대학 국제회의실에서 '문화도시 기본계획 어떻게 만들 것인가?' 학술포럼이 열렸다.
이날 김창수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시가 발주한 '문화도시 종합발전계획 수립 용역'의 과업 내용을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인천시의 과업지시서를 보면 도시의 문화 비전과 필요한 철학들, 그리고 과업들이 유기적인 일관성 없이 개별 아이템부터 먼저 제출된 상황"이라며 "현재로서 이 연구과제가 문화도시 종합발전계획을 세우기 위한 지침이기도 하지만 걸림돌이기도 하다. 이를 해체·재구성하는 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시가 유정복 시장의 문화분야 대표 공약인 '문화도시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해 발주한 용역의 과업 내용을 보면 ▲문화자원과 문화예술 실태조사 ▲문화예술진흥을 위한 비전과 목표 설정 ▲지역생활문화 활성화와 문화복지 확충 방안 ▲문화기반시설·문화자원 개발과 활성화 방안 ▲창조적 문화예술 활동역량 강화 ▲인천가치를 실현할 문화관광산업 육성방안 ▲중장기 발전계획의 추진전략과 재원조달 방안 등이다.
김 연구위원은 "과업내용이 문화도시의 비전과 철학을 담아내기 위한 것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전체 과업내용을 해체해 재구성해야 한다. 이를 착수보고 때 인천시와 충분히 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성급히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보다는 큰 틀의 문화 비전을 만들기 위해 시가 노력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김상원 인하대 교수는 이웃도시 서울의 예를 들며 "서울시는 문화도시 기본계획을 수립하며 내세운 원칙이 '시간에 구애받지 말고 좋은 계획을 만들자'였다"며 "인천에서도 이런 담론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시장이 바뀔 때마다 변경해야 하는 성과 위주의 계획이 아니라 큰 비전을 공유할 수 있는 계획이 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방법도 중요하다는 조언도 있었다.
서울시의 문화도시 기본계획 수립에 참여한 서울연구원의 나도삼 선임연구위원은 "서울시가 문화도시 기본계획을 수립하며 많은 고민을 했던 부분이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플랫폼'이었다"며 "인천과 서울은 상황이 다르지만, 인천 지역 현장의 이야기를 잘 들을 수 있었으면 한다"고 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