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과 세계노인학대방지망(INPEA)은 2006년부터 매년 6월 15일을 '세계 노인학대 인식의 날'(World Elder Abuse Awareness Day)로 지정하고 노인에 대한 부당한 처우 개선과 노인학대의 심각성을 알리고 있다.
경찰에서도 빠르게 고령화 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특성상 노인학대가 새로운 치안수요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이번 '세계 노인학대 인식의 날'과 맞춰 6월 한 달간 '노인학대 집중 신고 기간'을 운영하여 노인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촉구하는 중이다.
노인학대는 노인들이 속한 사회가 노인들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문제의 심각성이 달라진다. 인식의 차이에 따라 좁게는 일상 속에서 국민들이 주변 노인들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질 것이고 넓게는 노인들을 위한 국가의 복지 시스템이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의 틀을 구성하는 것 중 국민들의 의식 수준은 매우 중요하다. 국민들이 노인들이 우리를 낳아 길렀으며, 국가와 사회를 수호하고 발전시키는 데 공헌한 어른으로 존경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자연히 노인들은 공경받을 것이다.
하지만 노인들은 노동력이 없는 부양대상일 뿐이고, 기성세대로 고집만 피우는 꼰대라고 폄하받는 사회라면 노인들이 어떤 대우를 받을지 상상만으로도 끔찍하다.
노화를 이겨내려는 인간들의 노력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그 벽을 완벽히 뛰어넘지 못했다. 영원한 젊음은 없으며 누구나 노인이 된다는 말이다. 지금 내 주변에 노인분이 있다면 당신은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가? 당신의 시선과 지금 한국의 복지 정책이 얼마 후 내가 받게 될 사회의 시선과 복지 정책이라고 생각하자. 노인학대 예방은 노인을 공경하는 국민의식의 확산부터 시작한다.
/신동하 (일산경찰서 경무계장)
[독자의 소리] 장유유서(長幼有序)
입력 2016-06-15 19:42
수정 2016-06-15 19:4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6-06-16 1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