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시간에 다룰 논술 유형은 '설명하기'입니다. 설명하기 유형이란 주어진 이론이나 관점에 근거해 다른 제시문에 나타난 현상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서술하는 유형을 말합니다.
논술에서 설명하기 유형은 요약하기, 비교하기, 비판하기와 더불어 논술에서 빈번하게 출제되는 유형 중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제시문 외에도 도표나 그림 등과 복합적으로 출제되기도 합니다.
■문제 유형
설명하기 유형에 나오는 논제 형식은 대체로 '제시문 (가)를 바탕으로 제시문 (나)를 설명하시오'라는 형태로 구성됩니다. 이 경우 대체로 (가) 제시문에는 일반적인 이론이나 주장이 제시되고 (나)에는 구체적인 상황이나 사례가 나옵니다.
설명하기 유형은 일반적인 이론이나 주장을 토대로 이를 구체적인 상황에 적용해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서술하는 것입니다. 설명하기 유형은 크게 2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①설명의 기준이 제시되지 않는 경우
"(사)의 화자는 (바)에서 제시된 내용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릴지 서술하시오."(2017 가톨릭대 모의논술)
"제시문 (다)의 현상을 제시문 (가)와 (나) 중에서 선택하여 설명하고…." (2016 서울여대)
② 설명의 기준이 제시된 경우
"제시문 (가)의 밑줄 친 '문화 변동의 양상'을 기준으로 제시문 (라)를 설명하시오."(2016 광운대)
■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①1단계 : 논제 분석하기
논술문을 작성하기 전 먼저 해야 할 일은 주어진 논제를 요소별로 나누는 것입니다. 논술문을 어떤 순서로 작성해야 하는지 어떤 내용을 써야 하는지를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일 논제가 '제시문 (가)를 바탕으로 (나)의 현상을 설명하시오'라고 제시됐다면 이 논제에서 요구하는 사항은 3가지입니다.
- 제시문 (가)를 바탕으로 (설명의 기준 파악하기)
- (나)에 나타난 현상을 (설명의 대상 파악하기 )
- 설명하기 (서술 방식 파악하기)
②2단계 : '기준'이 되는 제시문에서 '설명 원리'를 이끌어 내기
설명형의 경우 '(가)를 바탕으로'라는 조건이 제시됩니다. 이 경우 제시문 (가)는 설명의 '기준'이 됩니다. 기준으로 제시된 글에는 보통 설명에 필요한 이론이나 주장 등과 같은 '설명 원리'가 제시됩니다. 이 원리를 갖고 해당하는 대상을 설명하라는 것입니다. 대개는 제시문의 요지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제시문을 단순히 요약하는 것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주어진 글의 길이와 상관없이 제시문의 핵심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뽑아내지 못하면 대상을 제대로 설명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③ 3단계 : 설명 대상이 되는 제시문 읽기
이 단계에서도 제시문의 핵심 내용을 요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존의 요약과 다른 점은 단순히 전체 내용을 요약하는 것이 아니라 앞 제시문에서 제시한 기준을 중심으로 요약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제시문에 있는 여러 내용 중에서 제시된 기준과 연관된 내용만 뽑아 정리해야 합니다.
논술에서 주어진 기준을 무시하고 제시문을 읽게 된다면 제시문 전체의 내용을 아무리 잘 정리한다고 하더라도 논제에서 요구하는 내용에 맞는 글을 쓰기 어려울 것입니다.
지면 관계상 다루지 못한 답안 작성 방식 나머지 부분은 다음 시간에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답안 작성 방식과 답안 작성 형식에 대해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장우 박문여고 교사
※위 논술카페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