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주가 사람을 사귀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빨리 취하기 위한 목적이 돼버린 것이다. 더욱이 1차로 끝내지 않고 술자리를 옮겨가며 계속 잇는 버릇은 필히 고쳐야 한다. 젊은날, 다음 날 출근하여 술자리 차수 많음을 자랑하는 웃지 못할 일도 있었다. 돌이켜 생각해 보면 돈 낭비에 시간 낭비, 건강까지 해치고 도움이 되는 것은 별로 없었다.
여기에다 내 것을 나누기라도 하듯 꼭 술잔을 돌린다. 간염 예방 등을 위해서라도 자기 잔을 사용해야 하나 여러 사람과의 친목을 도모한다며 자리를 옮겨가면서 술잔을 주고 받는다. 결국 처음엔 사람이 술을 먹지만 차츰 술이 사람을 먹게 되고 나중에는 술이 술을 먹게 되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지나친 음주는 일탈행위를 불러온다. 범죄를 저지르게 되기도 하고 스스로 범죄에 노출되기도 한다.
물론 우리의 잘못된 인식도 한 몫 했다. '주량과 업무 능력은 정비례한다' '술 대접 잘하는 사람이 인간관계도 잘 맺는다' '술 자리도 엄연한 직장생활의 연속이다' 등. 음주를 처세술의 수단으로 여겼던 것이다. 그러니 억지로라도 술자리에 참석해 잘못된 음주문화에 동참한 것은 아닐까?
요즘들어 직장별, 지역별로 음주문화 개선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바로 '112', '119'문화인데 '1차, 한 종류의 술로 2시간 이내' '1차, 한 종류의 술로 9시 이전에' 술자리를 마치는 것이다. 금주 청정구역을 선포한 지방자치단체도 있다. 공원이라든가 대중이 많이 이용하는 곳에서의 음주를 조례로 금지하고 어길 경우 과태료를 부과한다. 술은 일반적으로 기쁜 일이 있을 때 기분을 돋우거나 힘든 일이 있을 때 위로를 받기 위해 마신다. 예부터 우리 선인들의 음주 풍습은 전통적으로 심신을 흐트러지지 않게 하여 어른께 공경의 예를 갖추고 남에게 실례를 하지 않는 것이다. 우리의 잘못된 음주문화, 과감히 고쳐야 한다. 술을 강권해서는 안 된다. 원샷, 폭탄주, 술잔 돌리기 등은 이제 사라져야 한다. 음주로 타인에게 폐를 끼쳐서는 안 된다.
/이영관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