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정한 관점이나 입장에서 다른 관점이나 입장을 비판하는 것을 말합니다. 논제가 요구하는 조건에서 '비판의 근거'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판하기는 독자적으로 출제되는 경우도 있지만 요약, 비교하기, 자료 해석형 논제와 결합해 출제되기도 합니다.
■ 문제 유형
비판하기에 많이 나오는 논제의 형식은 대체로 '(가)를 바탕으로 (나)의 무엇을 비판하시오'입니다. 이 경우 (가) 제시문과 (나) 제시문은 대립적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문제 유형은 제시문에서 비판의 관점을 제시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2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①비판의 관점이 드러난 경우
제시문 [바]의 논지를 근거로 하여 제시문 [가]~[다]의 논지를 비판하시오. (경희대 2015 인문 )
아래 자료 중 하나를 활용해서 문제 1의 두 입장 중 하나를 택해 그 입장에서 다른 입장을 비판하시오. (성균관대 2016 인문)
②비판의 기준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
제시문 (라)의 의미를 미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제시문 (가)의 논지를 비판하시오. (연세대 2014년 인문)
■ 문제 해결 방법론
'(가)를 바탕으로 (나)를 비판하시오'라는 문제는 (가)와 (나) 제시문이 대립적인 상황을 전제로 합니다. 그러므로 비판의 기준이 되는 관점을 갖는 제시문과 비판의 대상이 되는 관점을 갖는 제시문을 대립적으로 분석해 주장(결론)과 근거(전제)를 정리해야 합니다.
이후 논제에서 요구하는 바를 어떻게 해결할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논술문으로 작성해야 할 요소가 3가지이니 3문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비판의 기준 찾기 : 제시문 (가)를 바탕으로
- 비판의 대상 찾기 : (나)에 나타난 무엇을
- 비판적으로 서술하기 : 비판하시오.
①비판의 기준 찾기
논제가 요구하는 제시문 (가)를 바탕으로 한다는 것은 (가)에서 (나)를 비판할 수 있는 기준을 찾으란 것입니다. 제시문 안에서는 대립하는 관점을 분석하고, 어떤 기준에서 비판할 수 있는지 정리해야 합니다.
② 비판의 대상 찾기
비판의 대상으로 (나)에서 무엇을 찾아야 합니다. (가)와 대립하는 관점이 무엇인지 정리해야 합니다. 관건은 대상이 되는 결론(주장)의 논거를 설득력 있게 비판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왜냐하면, 명제인 주장을 비판하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무엇으로 상대의 주장을 비판할 수 있을까요? 그렇게 주장하는 전제(논거)가 있습니다. 그렇게 주장하는 논거로서의 타당성을 비판하면서 주장이 잘못됐음을 공격해야 합니다.
③ 비판적으로 서술하기
마지막으로 '어떻게 비판을 서술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입니다. '제시문 (나)는 (가)의 어떤 점을 바탕으로 볼 때, 어떠한 점에서 비판받을 수 있다'고 문장이 구성돼야 합니다. 비판의 대상에서 해결 시점의 차이가 두드러질 때는, '장기적으로 볼 때 이런 내용이 유익하다'고 쓸 수 있습니다.
현실적인 대안으로서 부족할 때는 '현실적으로 이런 내용이 바람직하다'고 쓸 수 있습니다. 물론 가장 중요한 사항은 비판의 관점에서 볼 때 논거로서의 타당성을 지적하는 것입니다. '(가)의 입장에서 보면 (나)의 입장은 이런 점을 간과하고 있어 비판받을 수 있다'고 서술해야 합니다.
'생각을 키우는 박문논술 카페'(http://cafe.naver.com/songsks7)-<경인신공 독자와 함께> 란에 이 자료를 다시 읽어 보실 수 있습니다.
/송기식 박문여고 교사
※위 논술카페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