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리스 시대 유명한 웅변가였던 데모스테네스는 치부라는 죄를 뒤집어쓰고 감옥에 갇혔다가 간수의 도움을 받고 풀려나서 아테네를 벗어나 애기나 섬으로 망명을 해 조용히 여생을 보내려고 했다. 데모스테네스는 가르침을 구하는 청년들에게 "사람으로 태어나 정치가란 할 일이 못된다. 만일 정치가가 되는 길과 죽음으로 이르는 길 두 가지 중에서 하나를 택하라면, 여러분은 후자를 택하라. 정치에는 항상 중상, 모략, 시기, 질투, 증오와 거짓이 따라다닌다. 만약 내가 처음부터 그것을 알았다면, 나는 죽음으로 가는 길을 택하였을 것"이라면서 정치를 말렸다고 한다.
이 같은 현실은 국외로는 터키의 군부 쿠데타와 북한의 김정은 압제에서 죽어가는 사람들이 말해주고 있다. 국내로 눈을 돌려 보면 하루가 멀다 하고 정치판에서 이전투구가 벌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누구를 막론하고 나도 잘못 할 수 있으며 남도 옳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내 뜻과 같지 않다면 적으로 돌려 세워 타도의 대상으로 삼기 때문이다. 이 잘못된 관습을 벗어나지 않는 한 진보를 위한 발걸음을 내디딜 수가 없다.
우리는 서로서로 생각의 자유, 언론의 자유를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비록 의견은 다르더라도 상대의 존경과 의견의 옳고 그름을 분명히 해야 될 것이다.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천만 가지 생각과 의견이 다르더라도 나라 사랑과 민족적 애정만은 하나일 것이다. 이 하나에 초점을 맞춘다면 서로의 다른 생각이 자극을 주어 오히려 나라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사드 문제는 단순히 성주만의 문제가 아니라 나라의 운명이 걸린 문제이다. 차분히 대화와 토론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북한은 최근까지 총 12회에 걸쳐 27발의 미사일을 발사했으며 핵실험을 4번이나 했다.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은 국민 누구나 인정하고 있는 일이다. 서로 다른 생각의 존중은 민족 통일을 묶는 한 가닥 실이 될 수도 있다. 경북 성주의 사드 배치의 문제도 지금처럼 극단적인 행동보다는 토론과 해법을 찾아야 한다.
나만 옳다는 잘못된 관습과 지역 이기주의만으로는 우리 모두를 패배자로 만들 수 있다. 6천만 민족의 지혜를 모은다면 못 풀어낼 일이 없다. 어떤 어려움도 전 민족의 운명이 달린 일이 생기면 모두가 하나 되어 막아 내야 한다. 나라가 있어야 지역도 있을 수 있다. 김종인 야당 대표에게 많은 국민이 박수를 보내는 이유는 덮어놓고 반대만 하는 정치인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 정치인들은 벤치마킹해야 될 줄로 안다. 싸움만 하는 부정적인 국회, 이전투구만 하는 정치인이란 오명에서 벗어나 국민 걱정을 덜어주는 정치인, 나라와 민족에 공헌하는 정치인이 하나둘 늘어날 때 대한민국의 미래는 달라질 것이다.
/김성윤 단국대 정책과학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