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의 기준 제시되지 않은 고난이도 문항

논술카페-송기식
송기식 박문여고 교사
문제 수준을 높인다면 비판의 관점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입니다. 서로 대립하는 제시문만 서술돼 있습니다.

학생 스스로 드러나지 않은 비교의 기준을 추론해 만들어 내는 경우여서 힘들겠죠. 그래서인지 입시 논술 문제 안에서 숨겨진 맥락을 이용해 답안의 방향을 어느 정도 제시해 주고 있습니다.

■ 문제유형

# 제시문 (나)의 의미를 미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제시문 (가)의 논지를 비판하시오.

-연세대학교 2014년 논술문제에서 발췌

[ 제시문(가) ]

강녕의 용반, 소주의 등위, 항주의 서계는 모두 매화 산지이다.

어떤 이는 "매화는 휘어져야 아름답고 곧으면 맵시가 없으며, 틀어져야 아름답고 똑바르면 볼품이 없으며, 성기어야 아름답고 빽빽하면 자태가 없다"고 말한다. 그렇다. 하지만 문인화가들은 마음으로는 그렇게 생각하면서도 그러한 기준으로 천하의 매화를 평가한다고 큰소리로 분명하게 말하지는 못한다. 또한, 세상 모든 사람에게 곧은 것을 베고 빽빽한 것을 쳐내고 똑바른 것을 잘라 매화를 병들게 하고 매화를 빨리 죽게 하는 일을 업으로 삼아 돈을 벌게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매화를 틀어지게 하고 성기게 하고 휘어지게 하는 것은 돈 벌기에 급급한 우둔한 사람들이 그 머리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대신 문인화가들은 자신의 괴벽한 취미를 매화 파는 사람에게 확실하게 알려서, 똑바른 것을 베어 곁가지를 키우고 빽빽한 것을 쳐내 어린 가지를 죽이고 곧은 것을 잘라 생기를 막음으로써 높은 값을 구하게 하니, 강(江: 장쑤성)과 절(浙: 저장성) 지방의 매화는 모두 병이 들었다. 문인화가들이 끼친 폐해가 이 정도로 심할 줄이야!

나는 300개의 매화 분재를 샀는데 모두 병들었고 온전한 것은 하나도 없었다. 3일 동안 울고 나서 그것들을 치료해주고 풀어주고 순리대로 살게 해주겠다고 맹세한 뒤, 화분을 깨뜨려 모두 땅에 묻어주고 동여맨 끈을 풀어주었다. 5년을 기약으로 반드시 그것들을 회복시키고 온전하게 해주겠다고 다짐했다.

[ 제시문(나) ]
논술카페


■ 문제 해결 방법론

①비판의 기준 찾기

제시문 (나)에서 다이아몬드 원석과 이를 인위적으로 가공한 물방울 다이아몬드를 그림으로 볼 수 있습니다. 비판의 기준이 되는 미의 관점이 드러나 있지 않기 때문에 그림을 해석해 추론해야 합니다. 그림은 다이아몬드 원석에서 물방울 다이아몬드로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투박한 원석에서는 찾을 수 없는 영롱한 빛과 반사가 새 아름다움을 창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결국, 미적 관점에서 정리해 보면, 인위적으로 가공한 물방울 다이아몬드가 원석보다 더 아름답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비판의 기준은 '인위적인 행위가 아름다움의 본색을 더 크게 하는지'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②비판의 대상 찾기

비판의 대상이 되는 (가)를 미의 관점으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매화를 인공적으로 조작해 분재로 만드는 것은 아름다움의 본질을 해치는 것이다. 결국 미적 관점에서 보면 '인위적인 행위는 자연의 본래의 아름다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나)에서 주장하는 관점과는 논리적으로 대립적입니다.

③비판적으로 서술하기

(나)의 미적 관점에서 보면 (가)의 논지는 논리적으로 대립하니 당연히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인위적인 아름다움의 한 예로 창가에 아름답게 배치된 매화 분재를 아름답게 느낄 수 있습니다. 자연에서 일정한 틀의 모습만을 보이는 매화의 아름다움과 다른 새로운 아름다움일 수 있습니다.

인위적인 가공이 (가)에서 주장한 것처럼 아름다움의 본색을 해치는 것이 아니라 더 다양한 아름다운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가)의 미적 관점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것입니다.

'생각을 키우는 박문논술 카페'(http://cafe.naver.com/songsks7)-<경인신공 독자와 함께> 란에서 이 자료를 다시 읽어 보실 수 있습니다.

/송기식 박문여고 교사


※위 논술카페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