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82101001293400063561
이성철 경제부 차장
한낮에 35도를 오르내리는 폭염이 밤에도 가실 줄 모르니 몸과 마음이 모두 지쳐가기만 한다. 그러다 보니 더위를 피하기 위해 주말이면 가족들을 데리고 집 근처 대형마트를 찾는 게 습관처럼 돼 버렸다. 지난 주말에도 어김없이 저녁을 간단히 챙겨 먹고 8시쯤 대형마트로 향했다. 마트 입구에서부터 꼬리를 문 차량들로 북새통을 이룬다. 주차장까지 들어가도 주차할 곳을 찾지 못해 몇 바퀴 돌다가 겨우 한 자리를 찾아 주차하다 보니 아까운 시간만 지나고 만다. 하지만 눈치가 생겨 카트를 끌고 매장에서 나오는 한 손님을 따라가 비상등을 켜고 자리를 지키고 있다가 차가 빠져나가면 곧 바로 주차를 한다. 매장 안에 들어서면 시원한 에어컨 바람에 금세 땀이 마른다. 북적이는 사람들에 휩쓸려 여기저기 돌다 보면 카트 안에 이것저것 물건이 쌓인다.

굳이 살게 있어 마트를 찾은 것도 아니었는데 이곳에만 오면 뭐가 그리 살 게 많은지. 그렇게 한 두 시간 매장에서 시간을 보내는 동안 더위는 잠깐 잊게 된다. 문제는 여기서부터다. 에어컨을 한 시간이라도 켜지 않으면 요금을 조금이라도 아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마트를 다녀왔는데 집에 오자마자 에어컨을 틀게 된다. 에어컨을 틀지 않으면 잠을 잘 수 없으니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마트에서 지불한 물건값에다 에어컨을 틀었으니 전기료는 당연 늘어날테고 이 더위가 이래저래 돈을 쓰게 만드니 도대체 어떻게 된 노릇인지 주머니는 가벼워지는데 마음은 무겁기만 하다.

각 가정마다 전월 사용 전기료 고지서가 배달되면서 마치 학창시절 성적표를 받아볼 때처럼 가슴이 두근거린다는 말을 여기저기서 듣게 된다. 사용한 전기에 대해 요금을 내는 것은 마땅히 소비자의 몫이다. 거창하게 표현하자면 자본주의 시장에서의 당연한 경제 원칙일 것이다. 그러나 공공재를 이용하는 모든 소비자, 국민들은 합리적인 가격 산정 원칙을 원한다. 합리적이지 않기 때문에 국민들의 분노가 커지는 것이다. 정부가 부디 이번을 계기로 국민 생활에 꼭 필요한 전기와 수도, 가스 등등 필수 공공재에 대해 서민 부담이 가중되지 않도록 깊은 고민을 해주길 기대하는 바이다.

/이성철 경제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