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등학교의 의무 교육과정인 학생 현장실습이 전공과 무관하게 진행되는 등 파행 운영된다는 지적(경인일보 7월 13일자 1·3면 보도)과 관련 경기도교육청이 도내 특성화고 현장실습 정상화를 위한 연구에 착수했다. 도교육청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 교육과정 전반과 현장실습 체계를 개선하기로 했다.

도교육청은 최근 재단법인 경기도교육연구원에 '특성화고 현장실습 정상화를 위한 연구(가칭)'를 요청했다. 도교육연구원은 자체 연구심의위원회를 열고 다음 달부터 연구에 착수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연구는 특성화고의 의무 교육과정인 현장실습이 전공과 무관하게 진행되고, 적절성 등이 검증되지 않은 산업체로 학생들이 내몰리는데도 학교 등에 대한 실태 파악이나 관리 감독이 전무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도교육연구원은 다음 달부터 도내 특성화고와 현장실습 산업체, 취업처 등을 대상으로 실태조사와 개선점 등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한다.

특히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등 현장실습 관련법 상 '청소년'과 '노동자'라는 이중적 지위를 가진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권과 노동권이 제대로 보장받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기로 했다.

또 특성화고 교사 개별 심층면접을 통해 공업계·상업계·농업계 등 계열별로 학교 또는 교사가 현장실습 업체 발굴과 졸업 후 취업 등을 전적으로 책임지는 현 교육체계에서 발생하는 부작용과 한계를 조사할 예정이다.

도교육청은 우선 연구결과를 도내 특성화고에서 현장실습 관련 지침서로 활용할 '2017년 경기도 현장실습 세부운영계획'에 반영하기로 했다.

특히 내년까지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장실습을 포함한 특성화고 교육과정 전반과 산업체 관리 등에 대한 후속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진숙경 도교육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특성화고 학생들에게 직업체험과 직업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현장실습이 산업체에서 학생들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면죄부가 되고 있다는 지적에 공감한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는 지역별·계열별·전공별 특수성 등을 고려한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해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대현·조윤영기자 jy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