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82601001682200083281
최규원 지역사회부(하남) 차장
최근 상식적으로 납득되지 않는 강력범죄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런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에게는 '특별한 이유가 없다', '사람들이 나를 무시한다'는 등의 뜬구름 잡는 이유를 댄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사람에게 해를 가하는 범죄는 어떤 이유로도 합리화할 수 없다.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은 타인이 혹은 사회가 자신을 위협하고 있다는 피해의식을 갖고 있고, 범죄는 그러한 피해의식의 발현인 경우가 많다.

그저 자신의 쾌락을 위해 살인을 저지르는 특별한 경우도 있지만 최근 우리나라에서 발생 된 강력범죄 대부분은 사회 문제에서 시작되지 않았나 생각된다. 점점 개인화되는 현실에서 타인과의 관계성을 만들어가지 않은 채 각종 SNS(소셜네트워크)로만 관계를 맺는 등 일방적인 관계 맺기가 강력범죄의 이유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SNS를 무조건적으로 폄하하거나 비난하자는 것은 아니다. SNS를 긍정적·효과적으로 사용할 경우 새로운 인간관계의 표본을 만들 수도 있고, #(해시태크) 또한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사람들조차 하나의 의견을 만들어내도록 하는 새로운 희망의 전조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SNS를 자신만의 공간으로 한정하고 무조건 타인에 대한 적대감을 표출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은 적대감을 실제 현실에 적용하고 표출하려해 SNS의 부정적 사회 현상으로 읽힌다.

그렇다면 과연 무엇이 그들을 두렵게 하는 것일까.

그 근본문제는 직접적인 인간관계를 맺지 않기 때문인 듯싶다. 몇 해전 사람과 인공지능과의 사랑을 다뤘던 영화가 개봉한 적이 있다. 이 영화는 색다른 소재로 현대인들의 심리를 잘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런데 지금은 그 영화가 현실인 듯싶다. 최근 발생한 묻지마 강력 범죄는 가상의 공간에서 일방적으로 표현한 감정에 대해 불특정 인물이 싫어한다는 감정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주변의 사람들에게 실제 해코지를 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 세상은 살아갈만 한 곳이다. 우선 주변 사람들과의 스킨십이 동반된 관계를 맺자. 반드시 자신의 감정(진심)을 알아줄 그 누군가는 곁에 있다. 그는 분명 당신의 마음을 알아줄 것이며 손을 잡아주는 친구가 될 것이다. 그 사람은 반드시 곁에 있을 것이다. 아니 있다고 믿자. 믿음은 현실이 되고 자신 느끼는 두려움도 조금은 사그라질 것이다.

/최규원 지역사회부(하남)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