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친문의 양자대결 아닌
다자대결 될 것 같아 걱정
그럴싸한 포퓰리즘으로
국민 유혹하게 될 가능성 높기에
그저 재미없는 선거 되길 바랄뿐

또 하나는 내년 대선이다. 새누리당 대표에 친박 이정현 의원이 당선되자 '도로 친박당'이 됐다고 조롱하던 더민주는 친문 추미애 의원을 대표로 선출하면서 '도로 친문당'이 됐다. 덕분에 비박과 비문은 현재까지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될 처지에 놓였다. 그런데 대한민국 정치인은 이정도에 흔들리거나 좌절하지 않는다. 포기한다면 이는 대한민국 정치인 자격을 스스로 포기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들은 뒷방에서 가만히 대선판을 쳐다보고 있지만은 않을 것이다. 어떻게든 대선밥상에 숟가락을 올려 놓을 것이고 그 정도 집념이 있어야 대한민국 정치인이라 할수 있다. 사드 설치를 둘러싸고 벌이는 남남갈등,북한의 SLBM 시험발사, 여기에 청년실업,가계부채 등 산적한 문제가 하나 둘이 아닌데, 정치인들의 마음은 내년 '대선 밭'에 가 있다. 정치인들에게 국민은 안중에도 없다. 그게 대한민국 정치권이다.
그래서 이합집산, 합종연횡이 이뤄지고 결국 내년 대선은 친박과 친문의 양자 대결이 아닌 다자대결이 될 것이다. 그게 걱정이다. 그러다보면 택도 없는 포퓰리즘이 난무해 국민을 '유혹'에 들게 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국민들이 외면 할수 없는 그럴싸한 포퓰리즘이 폭포수처럼 쏟아져 나올 것이다. 국민의 당 안철수 전 대표는 '양 극단 세력이 정권잡으면 나라가 분열'이라며 생뚱맞게 '수도이전론'을 들고 나왔다. 한달전인가 김종인 의원이 지나가듯 슬그머니 언급한 '기본소득'도 가히 핵폭탄급이다. '기본소득'이란 재산의 많고 적음이나 근로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사회구성원에게 매월 일정액을 지급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무조건성, 보편성, 개별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형적인 좌파 포퓰리즘 정책이다. 국민이 무상급식과 누리과정처럼 이런 '제살 깎아 먹기' 정책에 열광할까봐, 그래서 대선판이 심하게 요동칠까봐 걱정이다.
영화 예고편을 두고 보통 '30초의 미학'이라고 한다. 2시간짜리 영화를 30초로 압축시켜 관객을 끌어들이는 미끼로 만든게 예고편이다. 예고편이 재미없다면 본편은 보나마나다. 그래서 예고편은 과장 되게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는 솔직히 작금의 사태가 내년 대선의 예고편 같아 걱정이다. 그리고 예고편보다 내년에 펼쳐질 본편이 더 재밌을까봐 그게 솔직히 걱정이다.
내년은 6·29 민주화 선언이 일어난지 30년이 되는 해다. 정치 민주화, 경제 민주화와 평등 사회를 향한 디딤돌이 된 지 30년이 된 것이다. 하지만 냉정하게 생각해 보길 바란다. 도대체 무엇이 달라졌나. 정쟁은 더 심해졌고, 국민은 더 피곤해 졌다. 6·29선언의 혜택은 국민 보다, 정치인들이 누리고 있다. 386, 486 세대 하면서 금배지를 단 의원중 상당수는 자신들 때문에 6·29 민주화가 왔다고 착각하고 있다. 아직도 그들은 정권을 투쟁해서 쟁취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나는 내년 대선이 재미없으면 좋겠다.예고편보다 본편이 더 재밌으면 어쩌나 하는 나의 걱정이 기우였으면 좋겠다. 본편을 보고 국민들의 입에서 "에이! 시시해"라는 말이 여기저기서 빵!빵!터져 나왔으면 좋겠다. 내년 대선은 너무너무 재미없어야 한다. 만일 지금 보여주는 예고편보다 더 재밌으면, 그래서 국민들이 온통 넋 놓고 그곳에 빠져든다면 아~ 정말 걱정이다.
/이영재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