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82901001814400089821
이윤희 지역사회부(광주) 차장
이제 여름이 끝났다 ?

올 여름은 폭염으로 온열 질환자가 급증하고, 콜레라·말라리아가 출현했으며 더위를 감당 못한 농·수산물의 피해로 농어민들의 속은 타 들어갔다. 서민들은 전기요금 폭탄에 가슴 졸여야 했다.

여기에 취재하는 직업을 가진 필자로서 한 가지를 더 추가하고 싶다. 폭염 만큼이나 짜증 섞인 글들이 난무하며 서로를 힘들게 했던 올 여름 각종 민원게시판 글들이 그것이다.

무슨 소리인가 할 것이다.

직업상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 지' 그 흐름을 읽어 기사에 반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기 위해 종종 여론이나 현안 등을 살펴보는 방법으로 민원게시판을 살펴보곤 한다. 그 속에는 시민들이 체감하는 현실적 어려움과 다양한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글들을 만날 수 있다.

하지만(개인적인 성향 차가 있겠지만) 어느때 부터인가 공격성향의 글이 많아지고 '과연 민원 해결을 위해 글을 올렸나' 싶을 정도로 상대방을 자극하는 글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특히 폭염때문이 아닌가 하는 느낌을 받게 된다.

평소 자주 들여다보는 여러 민원게시판 중 하나가 광주시의 민원게시판이다.

날이 더워서인지 올해는 글에서도 불쾌지수를 느끼게 된다. 해당 민원게시판을 보다 보면 나도 모르게 욱하는 것이 올라오곤 한다. 뭔가 문제가 있어 해결이 필요해 이용했을 터인데 이건 민원을 해결해달라는 건지 말싸움하자는 건지 헷갈릴 때가 많다.

담당공무원을 향해 '무뇌아냐' '외국에서 학교 다녔냐(민원 대답이 시원치 않을 때)'는 말에 '내가 낸 세금받아 뭐하냐는 거냐'는 비일비재한 표현이고, 실명을 거론하며 인신공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교통체증을 해소하는 일이 일개 공무원의 힘으로 되는 일도 아닐 텐데 실명까지 거론하며 '대책마련 미흡'을 지적하는 것은 도가 지나친 것이라 본다.

삶이 각박한 요즘, 세상살이가 힘들다 보니 화가 북받쳐 이런저런 민원 글을 올릴 것이다. 충분히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글을 읽으면서부터 화가 나고 열이 받는다면 과연 좋은 글일까.

'말 한마디에 천냥 빚 갚는다'는 말이 있다. 글쓰기도 전략이다. 여름 폭염과도 같이 짜증을 불러일으키는 글보다는 가을의 청량함처럼 우리 주변에도 시원한 글이 많아지는 날을 기대해본다.

/이윤희 지역사회부(광주)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