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_매스트 김현주 사장 인터뷰32
(주)매스트의 김현주(50) 대표는 마지막까지도 정부의 조속한 피해 지원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강승호기자 kangsh@kyeongin.com

수년간 땅·건물등 58억 투자 했는데…
올 2월까지 고작 1년여 '제대로' 일해
피해 91억 중 60억, 고스란히 손실로
2013년 중단때 제천 공장 설립 '위안'
'정부 피해지원 조치' 빨리 이뤄져야

부천시 원미구 상동에 본사를 둔 (주)매스트의 김현주(50) 대표는 개성공단에만 생산설비가 있는 업체들에 비해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매스트는 충북 제천에 개성공단 생산량의 20% 가량을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배신당한 전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지난 2013년 개성공단 가동이 잠정 중단됐을 때를 의미하는 것으로, 김 대표는 당시 '한 번 배신한 사람이 두 번은 못하겠느냐'는 심정에 제천에 공장을 세웠다.

불안한 예감은 왜 항상 적중하는지. 올 2월 개성공단이 전면 중단되면서 그는 부랴부랴 제천 공장의 설비를 확장해 그나마 절반가량을 생산해내고 있다.

김 대표는 "다른 업체들에 비해 먹고 살만하다고 보일지 모르겠지만, 대량 주문이 들어와도 국내에서는 도저히 이익이 남지 않아 수주하지 못한 채 반납하는 물량만 40%에 달한다"며 "매년 매출이 15% 이상 성장해왔는데 가동 중단 이후 6개월간 매출이 25% 줄었다"고 토로했다.

매스트는 양말과 티셔츠, 레깅스 등을 생산하는 의류업체로 개성공단은 인건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이면서 저가인 제품의 주문을 많이 받는다. 하지만 국내 인건비와 원가 등을 고려하면 국내 공장에서는 오히려 오더를 수주하는 것이 '마이너스'로 남는다.

그는 "개성공단의 입주업체 절반가량이 우리와 같은 섬유·의류업체들이기 때문에 사정은 비슷할 것"이라며 "가동이 중단되면서 대부분 베트남과 중국 등에 있는 공장에 일감을 주는 식으로 버티고 있다"고 말했다.

경제부_매스트 김현주 사장 인터뷰17
(주)매스트 직원들이 회의를 하는 모습과 본사에 쌓여있는 재고들. /강승호기자 kangsh@kyeongin.com

직원들도 잃었다. 개성공단에서 일하던 직원 6명을 제천 공장으로 데려왔는데, 사람이 먼저라는 생각으로 월급을 꼬박꼬박 줬는데도 불구하고 회사 사정이 악화된 것이 뻔히 보이니 '눈칫밥'을 먹어가며 힘들어하다가 결국은 퇴사를 택했다고 했다.

어려울 때 함께하며 회사를 키워왔던 사람들을 잃었다는 것에 마음이 아팠던 것도 잠시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개성공단이 재가동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중단이 반년을 넘어가면서 수십억원을 잃게 된 아픔은 분노로 바뀐 지 오래다.

김 대표는 지난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해 2011년 개성공단에 입주했다. 땅과 건물, 기계·장비 등에 58억원을 투자해 완성된 것이 2014년 말이니 올해 2월 가동이 중단될 때까지 고작 1년여의 시간만을 '제대로' 일한 셈이다.

58억원의 투자금에, 개성공단에 두고 나온 완제품과 원부자재 등은 33억원어치로 매스트의 총 피해 금액은 91억원에 달한다. 이중 경협보험금으로 32억5천만원 가량을 받은 게 전부여서 60억원 가량은 고스란히 손실로 남았다.

정부는 보험금과 별도로 매스트에 대해 제품 피해액 33억원 중 22억원만을 인정하고 이중 15억만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김 대표는 "그동안에는 투자만 하고 올해부터 정말 제대로 해보려고 했는데 이런 일이 생겨버렸다"며 "정부의 피해액 인정 기준도 '면장' 등의 수출 서류가 있는 것만 인정하고 '송장' 등 반출신고서는 인정하지 않아 피해 규모가 과소평가됐는데, 그나마 인정된 유형 피해액도 전액을 보상해주지 않으니 손해를 어떻게 메워야 할지 앞이 캄캄하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협력업체에 대한 보상 문제나 제품 피해액에 대해 다시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일종의 '확약서'도 써야 한다고 들었다"며 "개성공단 중단 상황이 우리 정부 때문에 일어났다고는 하기 어렵지만, 적어도 물건을 가져올 최소한의 시간도 주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책임을 져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김 대표는 마지막까지도 정부의 조속한 피해 지원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현재 개성공단 입주기업들과 이들의 협력업체들만 해도 5천여곳에 달하는데, 가동 중단 이후 협력업체에 대금 지급 등을 할 수 없으니 손해배상소송 등 줄소송에 피소당하는 업체들도 눈에 띄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매스트도 10개 협력업체 중 절반인 5개 업체로부터 피소돼 소송을 진행 중인 상황이다.

그는 "개성공단에서 기업들과 협력업체가 서로를 도와가며 사이좋게 살림을 꾸려왔는데, 돈이 걸려있다보니 이제는 서로에게 등을 돌린 채 법정공방을 벌이기에 급급해졌다"며 "이 같은 사태가 장기화하면 정부가 입주기업과 협력업체의 갈등을 부추기는 꼴밖에 되지 않으니 하루 빨리 책임지는 모습을 보였으면 한다"고 말했다.

/신선미기자 ssunm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