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0401000204400008321
이현준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
꼭 13년 됐다. 대구시는 2003년 발표한 '대구장기발전계획-대구비전 2020'에서 대구시의 인구가 2020년 300만 명을 돌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세계로 열린 문화·녹색 도시'를 비전으로 전자, 기계, 철강, 자동차 산업 연계, 한방 바이오산업 육성, 문화·디지털 영상산업 강화 등 10대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대구시는 1997년 인구 250만 명을 넘어섰다. 인천시보다 2년 앞섰다. '대한민국 3대 도시', 대구시는 등등했다.

대구시 인구 증가 규모는 예상과 크게 달랐다. '대구비전 2020'을 발표했던 2003년, 254만4천여 명을 정점으로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했다. 지난 6월 말 기준 대구시의 인구는 251만여 명이다. 일자리를 찾아 외지로 떠나는 청년층 유출과 낮은 출산율이 대구시 인구 감소의 근본 원인이라는 지적이 많다.

대구시에 밀렸던 인천시의 인구는 매년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달 말 기준 인천의 인구가 299만6천500여 명 규모라고 밝혔다. 2000년대 들어서 본격화된 송도국제도시와 청라, 영종 등 경제자유구역 개발, 교통 등 사회 인프라의 지속적인 확충 등으로 인한 인구 유입이 인천 인구 증가의 주된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인천시는 올해 안으로 300만 명을 넘어설 것이라며 이를 기념하기 위한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도시의 인구 규모는 해당 도시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로 꼽힌다. 그런 측면에서 인천의 인구 증가는 긍정적으로 보인다.

반면, 걱정스러운 부분이 있다. 인천 출생아 수는 2012년 2만7천780여 명을 정점으로 감소세에 있다. 지난해엔 2만5천490여 명에 불과했다. 수도권 대표 국가산업단지인 인천 남동산단은 고용인원과 가동률 등 지표에서 부정적인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인천시의 실업률은 전국 최고 수준이다. 일자리와 저출산 문제는 대구시가 겪는 도시 인구 감소 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인천시의 인구가 언제 감소세로 돌아설지 모르는 일이다. 일자리 확충과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을 지금부터라도 고민해야 한다. 인구 300만 명을 목전에 둔 인천시가 준비해야 할 건 '기념행사'만이 아닌 듯하다.

/이현준 인천본사 정치부 차장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