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제에 답안 요건·방향 담겨 낱낱이 파헤칠것
원고지량 미리 계산하지 않으면 전체흐름 흐려


논술카페-송기식
송기식 박문여고 교사
논제를 파헤치는 것이 핵심입니다. 원하는 답을 위해 문제를 낸다면, 그 문제 안에 답안의 조건, 방향 등을 모두 제시해야 합니다. 흔히 논제가 중요하다며, 논제를 꼼꼼하게 보라고 합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충분히 논제를 봤다고 생각할 때 다시 한 번 보고 깨우쳐야 합니다. 논술 답안 작성의 핵심은 논제를 얼마나 뜯어보는지에 달렸습니다. 답안을 작성하고 설계하기 위해 파헤쳐야 할 논술 문제의 핵심은 다음의 세 가지입니다.

첫째, '요구 조건'입니다. 무엇을 설명하라는 것인지, 평가하라는 것인지, 해설하라는 것인지, 검토하라는 것인지, 비교하라는 것인지, 분석하라는 것인지에 따라 답안의 내용이 다릅니다. 최대한 문제가 요구하는 조건에 맞게 서술해야 합니다.

둘째, '핵심 단어'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보고 있는 논술 문제 속에 핵심적인 단어가 있다면 그것은 그 대학 출제진이 미리 만들어놓은 예시답안에도 들어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논제 속에서 핵심 단어는 반드시 답안에 써야 합니다. 실제로 '대응방안'이 핵심 단어라면 '대응방안은 ~ 이다'고 서술어 앞에 정확히 밝혀야 합니다. 다음 예문처럼 말입니다.

[예문]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응 방안은 정보 이용자 그룹은 정보를 비판적으로 판단, 활용할 수 있는 소양을 길러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몇 개의 요구조건을 '어떤 순서'로 써야 하는지, 요구사항마다 '어떤 정도의 글 분량'으로 답안을 쓸 것인가를 생각해야 합니다. 다음 문제를 토대로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문제] (가) 현상을 간단히 설명하고, 이와 관련한 (나)와 (다)의 논지를 대조적으로 정리한 다음 (라)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고려하여, 현대 문명 상황에서 인간이 무엇을 어떻게 선택하는 것이 좋은지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라. (1,000~1,200자)

문제에서 요구한 조건을 구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가) 현상을 간단히 설명하고, 이와 관련한

② (나)와 ③(다)의 논지를 대조적으로 정리한 다음,

④(라)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고려하여, ⑤현대 문명 상황에서 ⑥인간이 무엇을 어떻게 선택하는 것이 좋은지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라.

그러므로 문제에서 '요구한 조건'은,

①(가) 현상을 간단히 설명하는 것,

②이와 관련한 (나)의 논지를 정리하는 것,

③이와 관련한 (다)의 논지를 정리하는 것(단, (나)와 대조적으로),

④(라)에서 제기된 문제점이 무엇인지 쓰고 고려하는 것,

⑤현대 문명 상황이 어떤 상황인지 정리하는 것,

⑥인간이 무엇을 어떻게 선택하는 것이 좋은지 쓰는 것.

마지막으로 문제가 요구한 조건들에 맞춰 '글의 순서와 분량을 나눠야' 합니다. 가만히 보면 ①~③까지가 한 덩어리, ④~⑥이 한 덩어리를 이루고 있습니다. 글자는 최대 1천200자를 써야 합니다. 그렇다면 각각에 600자씩 할애하고 번호 하나당 200자를 넘기면 안 됩니다.

문제를 풀 때, 답을 써야 할 원고지 끝에 대강 체크를 해야 합니다. 이렇게 설계하고 각 요구 사항마다 분량까지 어느 정도 미리 계산하지 않으면 제대로 답안을 정리하기 어렵습니다.

이렇게 논술 문제 하나를 끝까지 풀어보면서 내가 설계한 답안의 순서, 분량, 흐름이 큰 틀에서 맞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실제 출제된 문제를 풀어가면서 논술답안을 어떻게 설계하고 답안을 정리하는지를 공부하기로 합니다.

위 내용은 네이버의 '박문 논술카페'(http://cafe.naver.com/songsks7)의 겨울 논술캠프 프로그램에서 만든 윤성진님의 강의 자료를 참고했음을 알려드립니다.

/송기식 박문여고 교사

※위 논술카페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