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시사항을 근거로 하지 않을땐 '오답'

논제 숙독후 글순서·분량 적절히 안배

2016092501001494400073061
송기식 박문여고 교사
지난 시간에 공부한대로 다음의 문제를 샅샅이 뜯어보기로 합시다.
 

[문제] <제시문 가>를 바탕으로 <자료 1>과 <자료 2>에 담긴 현상과 의미를 설명하고, 이 경우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과 그 대응방안을 논술하시오.(800자)

18_논술.jpeg

<가>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전통적 지식이 디지털 형태의 정보로 전환되고 있다. 그런데 지식이 정보로 전환될 때에는 대개 의미의 굴절이 일어난다. 이런 까닭에 지식과 그 지식을 디지털 형태로 전환한 정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지식과 정보는 어떻게 다른 것일까? 정보사회학자들의 설명을 요약하면 그 차이는 다음과 같다. '지식'은 인간이 오랜 시간 동안 사유와 실천 활동을 통해 부여한 체계적이고 복합적인 의미의 집적물이다. '정보'는 잠재적 수요자를 위해 지식에서 추출한 데이터의 기술적 가공물, 이를테면 지식을 요약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의미의 집적물이다. 또한 지식은 체계성과 복합성이라는 그 속성상 지적 훈련을 거친 엘리트만이 접근하고 획득할 수 있는 대상이 된다. 이에 비해 디지털 형태로 전환된 정보는 대중의 접근을 수월하게 하고, 전달과 획득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켜 주며, 저장과 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오늘날 인터넷이 학문 발전과 산업 발전을 위한 중요한 촉매제가 된 것은 그것이 유례없이 빠른 속도의 정보교환과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광범위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편의성과 효율성이 제고된 정보사회가 반드시 장밋빛 미래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정보의 경우 제공자와 사용자의 익명성으로 인해 오용되거나 남용될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하며, 그런 일은 실제로도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정보를 독점적으로 장악한 자가 특정한 목적에 이를 악용할 위험 역시 상존한다. 같은 물이라도 뱀이 마시면 독이 되고 소가 마시면 우유가 되는 것처럼, 정보의 활용에도 양면성이 있음을 잊지 말자.

■ 문제가 요구하는 지시사항을 찾아내라!

① 제시문 (가)를 바탕으로

<제시문 가>를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시켜나가기 위해' <제시문 가>를 정리, 또는 이해, 활용하라는 것입니다. 최소한 답안지에는 '제시문 (가)는 ~ 을 보여 준다' 정도로 글을 써야 합니다.

② 표 1에 담긴 현상과 의미를 설명하라

논제에서 '표 1', '표 2'는 '과'로 묶여 있습니다. 이는 결국 각각 해결하라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먼저 <표 1>에 담긴 '현상'이 무엇이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설명'해야 합니다.

③표 2에 담긴 현상과 의미를 설명하라

앞에서 표 1의 현상과 의미를 설명한 것과 동일한 분량, 방식으로 정리해야 합니다. 그래야 답안이 체계적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④이 경우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지 정리한다.

핵심 키워드는 '문제점'이지만, 사실 그 앞에 있는 '이 경우'도 중요합니다. 답안을 쓸 때, 이 '어떤 경우인가?'라는 질문에 답하지 못한다면 문제가 제대로 풀리고 있지 않는 것입니다.

⑤그 대응방안을 논술하라

이번의 핵심어는 '대응방안'입니다. 이 대응방안은 당연히 앞의 문제점과 연결되어야 하고, 앞에서 사용한 제시문 가, 표1· 2와도 긴밀히 연결되는 방향에서 도출되어야 합니다. 기발한 착상보다는 ④번 항목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논의를 토대로 대응방안을 명시해야 합니다.

■ 핵심 단어가 의미하는 바를 찾아내라!

①제시문 (가)를 바탕으로 -- 바탕

'바탕'이라는 말의 뜻은 모든 논의를 (가)와 관련시켜 하라는 뜻이다. '바탕'으로 하지 않은 모든 논의가 오답이 됩니다. 비슷한 말로는 '논의의 근거로 삼아, 토대로 하여, 근거로 하여, 관련시켜' 등이 있습니다.

②③현상과 의미

표 1과 2는 현실에 대한 객관화된 자료이므로 특정한 '현상'을 담고 있습니다. 거기서 의미를 끌어내야 합니다. 이 때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 바로 <제시문 가>입니다. 답안을 작성할 때, '그냥' 쓰지 말고, '현상'은 현상으로, '의미'는 의미로 써야 합니다. 답안지에 '현상은 ~ 이다', 그리고 '그 의미는 ~ 이다'로 서술해야 합니다.

④문제점과 대응방안

핵심 키워드는 '문제점'과 대응방안입니다. 길게 말할 것 없이 무조건 '문제점은 ~~~이고, 대응방안은 ~~~ 이다'라고 답안에 써야 합니다.

■ 답안 설계는 어떻게 할 것인가?

논제를 보면서 시작합니다. 답안의 순서와 분량은 다음과 같이 설계할 수 있습니다.

<제시문 가>를 바탕으로 <표 1>과 <표 2>에 담긴 현상과 의미를 설명하고 /

이 경우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과 그 대응방안을 논술하시오.(800자)

①(가)의 의미 / 약 100자

②<표 1>의 현상과 의미 / 약 150자

③<표 2>의 현상과 의미 / 약 150자

④이 경우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 / 약 200자

⑤그 대응방안 / 약 200자

지금처럼 요구 조건의 순서를 정하고 글 분량을 정하면서 대강의 개요가 짜여집니다. 몇 번 해보면 감이 올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분량을 적절히 안배해야 한다는 것인데, 자기 기분에 따라, 자기가 잘 쓸 수 있는 부분만 많이 쓰는 경우를 주의해야 합니다. / 박문여고 교사

<<예시답안>>

(가)의 의미 / 약 100자

①(가)는 심화된 지식이 단편적인 정보로 전환되면서, 정보의 대중적 사용으로 인해 산업, 문화가 발전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동시에 정보의 오남용과 악용이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표 1>의 현상과 의미 / 약 150자

②<표 1>에 나타난 현상은 인터넷 사용자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다 완만한 증가세로 접어든 현상이다. ③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1천200만 명이 넘는 대중이 정보 사용자로 등장하고, 이를 통해 서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표 2>의 현상과 의미 / 약 150자

④<표 2>에 나타난 현상은 200만 원 이하의 저소득층일수록 상대적으로 인터넷 이용률이 저조한 현상이다. ⑤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이들이 정보 활용과 소통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 / 약 200자

⑥이 경우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은 첫째, 정보 이용 계층들이 요약, 정리된 정부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할 경우, 정보의 오남용으로 인해 현실과 사실을 왜곡된 채 이해하거나, 왜곡된 정보를 맹목적으로 수용하게 된다는 점이다. ⑦둘째, 정보 이용에서 소외된 계층은 정보교류를 통한 발전의 가능성마저 차단당해, 결과적으로 계급 간 격차가 더 심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그 대응방안 / 약 200자

⑧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응 방안은 정보 이용자 그룹은 정보를 비판적으로 판단, 활용할 수 있는 소양을 길러야 한다는 것이다. ⑨그리고 정보 이용에서 소외된 그룹은 정보 이용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술적, 경제적인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송기식 박문여고 교사

※위 논술카페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