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선화
황선화 농협이념중앙교육원 교수
어제는 오래전 알던 분으로부터 정말 엉뚱한 전화를 받았다. '절대농지가 해제된다는 보도를 보지 않았느냐'면서 '해제만 되면 5배는 틀림없이 보장되는 땅'이라며 투자를 하라는 내용이었다.

검색을 해보니 재테크, 부동산투자 등을 내세운 여러 인터넷 카페, 블로그에는 해당 기사의 링크와 함께 투자 기회라는 게시글이 범람하고 있었다.

절대농지란 농업진흥지역으로 선정돼 농사 용도로만 쓰일 수 있는 땅을 말한다.

1980년대 세계적 흉년으로 수백만명이 아사하는 식량 파동을 겪은 이후 최소한의 식량 확보를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현재 우리나라 국토의 8%에 해당하는 81만ha로 관개 시설 등이 잘 정비되어있는 우량 농지이다.

정부에서는 내년 2월까지 서울 면적의 1.7배에 달하는 10만㏊의 규제를 해제하고, 앞으로도 지방자치단체와 농민의 판단에 따라 농업진흥지역을 지속적으로 풀어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있는 사람들에게는 먹거리가 생산되는 우량농지가 돈으로 보이는 듯하다.

우리나라 곡물자급률은 23.8%, 그나마 쌀을 제외하면 3.7%에 불과하다. 옥수수는 자급률이 1%도 안 되고 콩류가 겨우 11% 수준에 이를 뿐이다. 우리가 먹고 있는 것들이 대부분 수입농산물로 충당되고 있다는 이야기다.

수입되는 곡물의 상당 부분이 GMO농산물인 것도 문제이다. GMO농산물 수입량은 2014년에 이어 2년 연속 1천만t을 초과하고 있다. 기사에 따르면 2011년 이후 식용으로 수입된 GMO 옥수수와 콩, 유채(카놀라)가 1천70만t이라고 한다. 이를 가지고 생산한 식품에 GMO표시가 되어 있지 않으니 난감할 뿐이다.

국민들, 특히 우리 아이들에겐 건강한 먹거리를 주어야 한다. 더불어 식량주권은 지켜져야 한다. 쌀생산을 줄이기 위해 농지를 줄이기보다는 다른 작물을 심도록 적극 장려하는 것이 바른길이 아닐까?

계속되는 지진으로 안전에 위협받는 국민들은 최소한 먹거리에 대한 불안함 없이 살고 싶다.

/황선화 농협이념중앙교육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