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과 고위공직자, 경제인등 정·관·재계의 유력자들은 왜 분당 대장동 땅을 선택했을까? 답은 간단하다. 엄청난 투자(투기)가치 때문이다.

남서울파크힐이 자리잡고 있는 대장동과 하산운동은 분당과 접해있고, 서울 강남과는 차로 불과 20여분거리다. 주변 자연경관도 뛰어나 더 바랄 게 없는 최고·최적의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더욱이 산 정상에 위치한 4만5천여평의 부지는 주변이 모두 '임야'로 개발이 불가능하지만 이곳 만은 공부상 지적이 '대지'로 돼 있어 개발이 가능했다는 점이 이들 유력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이곳만 유독 지목이 대지인 것에 대해서는 70년대 군사정권 당시 군부공신들을 위해 정권이 토지를 하사하면서 지목을 임야에서 대지로 변경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공식적으로는 74년 모 건설업체가 자금 마련을 위해 토지형질을 변경, 일반인에게 분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땅은 성남시가 지난 76년 개발행위 제한을 위한 남단녹지로 지정하면서 서류상 지목이 대지임에도 불구, 개발이 16년 가까이 원천봉쇄됐다.
이후 분당신도시가 들어선 92년 남단녹지 지정이 해제됐지만 성남시는 여전히 토지주들의 건축허가신청을 받아주지 않았다.

공부상 지목이 대지라 하더라도 기반시설이 없고 산세가 수려한 산 정상에 대단위 전원주택단지개발을 허가할수 없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
이렇다보니 대장동의 땅 거래는 20년 가까이 거의 없었다. 땅값도 별로 오르지 않았다. 건축허가가 나지 않는 땅을 누구도 사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대로 성남시가 건축허가만 내준다면 말 그대로 '황금알을 낳는 땅'이 될수 있는 곳이기도 했다.

남서울파크힐 시행업체 K사는 이런 점을 간파하고 전원주택단지 추진에 나섰다. 지난 2000년 8월, 성남시에 집중적인 로비를 벌이면서 한편으로는 정·관·재계의 유력자들을 끌어 들였다. 결국 얼마뒤 시로 부터 135건에 달하는 건축허가를 무더기로 받아냈다.
특히 K사는 비록 지목이 대지이지만 난개발을 막기 위해 보전녹지에서는 농·축·임업종사자만 주택을 지을수 있도록 하려는 성남시의 조례제정 계획까지 무산시키는 위력을 발휘했다.
당연히 땅값이 폭등했다.

2000년 당시 평당 150만원선이던 땅값이 올초에는 450만~500만원까지 뛰었고, 최근에는 매물이 나오지 않으면서 토지주들이 부르는게 값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심지어 공시지가마저도 지난 2002년 평당 100만원에서 불과 2년뒤인 2004년 330만원으로 3배가 뛰는 기록을 올렸다.
정보력과 재력, 인맥을 갖춘 정·관·재계 유력자들이 너도나도 이 땅에 뛰어들었던 이유가 여기에 있었던 것이다.
/왕정식·심언철·이유리·wjs@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