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사업을 경제·산업적 접근 '잘못된 출발'
동네 유튜브를 글로벌 유통플랫폼 처럼 '과대 포장'
市, PP전환·시청자미디어센터 참여 등 해법 찾아야


2016100501000265800012161
이충환 인천 시청자미디어센터장
"10월 7일 인천방송발전을 위한 토론회를 갖습니다. 패널로 꼭 참석해줬으면 좋겠습니다."

인천N방송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인천테크노파크 본부장은 우리 센터 발전협의회 14명 위원 중 한 분이다. 인천N방송의 향후 운영방안을 놓고 전문가들이 모여 토론을 한단다. "난 사실 이 센터장님처럼 인천N방송에 비판적인 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그래서 꼭 참석해주길 바랍니다." 아쉽게도 일정이 겹쳐 모레 열리는 토론회에는 참석하질 못한다. 대신 이 지면을 빌려 생각을 보태고 싶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인천N방송은 실패다. 정부와 인천시가 적지 않은 사업비를 투입했지만, 기관장이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지만, 운영진이 의욕을 활활 불태웠지만, 실패했다. 콘텐츠가 없고 보는 사람이 없다.

인천N방송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시범사업이다. 인터넷 인프라에 소규모 방송서비스가 결합된 형태다. 채널을 무한정 확장할 수 있다고 해서 그렇게 이름 붙여졌다. 당초 이 사업의 목적은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정보 제공, 동호회와 교회 등과 같은 비개방적 이용자그룹을 위한 소규모 방송서비스 제공, 전통시장과 소상공인 홈쇼핑서비스 제공에 있었다. 한 지역 울타리 안에서 그 지역의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이 필요한 정보와 콘텐츠를 편리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동네 유튜브'의 역할과 기능을 하도록 설계됐다. "태생적으로 소박한 콘텐츠 유통 플랫폼"(2015년 11월 4일 경인칼럼 'KBS 인천지역국이 필요한가?')인 것이다.

인천N방송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데에는 두 가지 원인이 작용했다. 첫째, 처음부터 번지수가 틀렸다. 인천N방송은 하나의 문화현상이며, 콘텐츠 지향 사업이다. 그런데 엉뚱한 프레임으로 접근했다. 시의 주관부서가 창조경제를 담당하는 경제정책과였다. 지금도 신성장산업과가 담당한다. 문화현상과 콘텐츠사업을 경제적·산업적 관점에서만 판단하고 사업을 집행했으니 출발부터가 잘못돼도 한참 잘못됐다. 둘째, 운영주체의 '뻥튀기'가 너무 심했다. 동네 유튜브를 글로벌 콘텐츠 유통플랫폼인 양 지나치게 과대포장 했다. 그러다 보니 더 요란한 슬로건과 더 화려한 캐치프레이즈를 앞세우지 않을 수 없었다. 10만원씩 콘텐츠 채택료를 주고, 노래 잘하고 개그 잘하는 시민을 스타로 발굴하는 대회를 열고, 애플TV에 한국 콘텐츠를 공급하는 플랫폼사업자와 손을 잡아도 동네 유튜브는 동네 유튜브다. 운영진의 의욕이 지나쳤다.

인천시나 인천테크노파크로선 비상구를 찾아야 할 시점이다. 다행히 몇 가지 해법이 있다. 하나는 인천N방송을 방송채널사업자, 즉 PP(Program Provider)로 전환하는 것이다. 인천의 고질적인 방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시가 방송콘텐츠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면 된다. 인천N방송을 PP로 만드는 것은 시가 '인큐베이터와 방송사업자의 기능을 함께하는' 방안에 해당된다.(2015년 12월 16일 경인칼럼 '인천의 방송, 그 문제를 푸는 방법')

또 하나는 인천시가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 운영에 참여하면서 인천N방송을 시민제작콘텐츠의 유통망으로 활용하는 방안이다. 시청자미디어센터의 설립목적과 기능상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참여는 필수다. 지금처럼 기초자치단체에게만 맡겨둘 수는 없는 일이다. 그런데 재정위기의 인천시가 선뜻 팔 걷어붙이고 나서기가 간단치 않다. 인천N방송은 이런 상황을 들어 올리는 지렛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때마침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는 1인 방송시스템(MCN : Multi Channel Network)의 도입을 앞두고 있다. 시민 누구나 방송제작자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실패'라는 말이 거칠고 섭섭하게 들리시겠다. 하지만 엄정한 시선으로 문제와 현실을 들여다봐야 해법을 찾을 수 있다. 그래서 드리는 충정(衷情)의 표현이다. 모레 열리는 토론회에서 마음의 짐을 한 짐 덜어내시길 바란다.

/이충환 인천 시청자미디어센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