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자기소개서 객관적 검토 문답 훈련을
기출문제 살펴 두괄식으로 말하는 연습도 필요


2016102001001369300068101
송기식 박문여고 교사
교육부는 인성면접에 대한 평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자기소개서에 적힌 사실을 바탕으로 공동체 의식, 진실성, 도덕성 등 관련된 항목들을 평가합니다. 입학사정관들은 "면접 준비는 서류작성 단계부터 시작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합니다. 면접은 100% 지원자의 제출 서류 내용을 기반으로 이뤄지기 때문입니다.

■면접 유형

[2016년 학생부 종합 동국대학교 환경공학과]

①자신을 소개해 보세요? ②1학년 때와 달리 진로희망이 바뀐 이유는? ③진로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준 것이 있다면? ④과학탐구토론대회에서 어떤 적정 기술에 대해 조사했는지? ⑤대학 졸업 후 진로계획은? ⑥학생의 장점은 무엇인가? 단점은 무엇인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해 왔는가? ⑦환경공학을 하고 싶은 것 같은데 이 학과는 토목공학 위주로 커리큘럼이 짜여있는데 혹시 흥미가 떨어지면 어떻게 할 것인가? ⑧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

[2016년 경인교대 교직 적성 잠재능력 우수자 초등교육과]

①자신이 생각하는 초등학교 교사의 자질은 무엇인가? 그리고 사례를 말하시오. ②교육봉사를 많이 했는데 어떻게 하게 됐고 언제부터 했는가? ③교육봉사를 하면서 느낀 점은? 그리고 봉사를 많이 해 공부에 소홀해질까 봐 부모님이 봉사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으셨는가? ④자신의 성격 중에서 초등학교 교사와 맞는 부분이 있는가? 그리고 사례는? ⑤봉사 이외에 생각나는 활동은? 그리고 외국의 교육제도 중 도입하고 싶지만, 우리나라에서 실현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생각한 제도는? ⑥3학년 학술동아리에서 덴마크 교육을 조사했다고 적혀있는데 학생이 교사가 되었을 때 실현하고 싶은 제도가 있나?

■면접 체크 포인트

①학생부와 자기소개서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검토하라

면접관의 눈으로, 즉 객관적인 시각에서 자신의 서류들을 재검토해야 합니다. 학생부와 자기소개서를 펼쳐 놓고 수상경력, 체험, 봉사활동, 내신 성적 등에 'Why'를 달아 봅니다. 동아리 회장은 왜 했는지, 왜 수학 성적이 낮은지 등이다. 대답을 적어 본 뒤에는 이 활동이 자신에게 미친 영향이나 변화과정을 정리해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②지원 동기, 준비 과정, 학업 및 진로 계획을 구체적으로 말하는 훈련을 하라

면접관이 가장 묻고 싶어 하는 것 중 하나는 진학하고자 하는 학교와 학과의 지원 동기입니다. 이를 준비해 온 지난 3년의 과정을 알고 싶어 합니다. 창의체험 활동, 교과별 세부 능력사항, 동아리 활동, 수상 내용, 탐구 활동 등을 잘 살펴 질문할 때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연습해야 합니다.

아울러 대학에서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에 대한 학업 계획 및 진로 계획 등도 정리해 답할 수 있도록 훈련해야 합니다.

③자신감 있게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라

면접관의 질문 중 자주 나오는 것을 예를 들면 고등학교 시절에 가장 몰입한 것은 무엇인가? 친구들 사이에서 지원자의 역할은? 자신을 홍보하는 광고를 찍는다면? 자신의 장점은? 등입니다. 면접관이 묻고 싶은 것은 지금까지 '무엇을 해 왔는가'에 대한 질문이며,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자기소개로 이어져야 합니다.

④결론부터 말하는 습관을 기르자

길게 말할 필요 없이 가장 중요한 것부터 두괄식으로 정리해 말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면접관의 질문에 대해서는 '결론->이유->구체적 체험의 뒷받침'순서로 이야기하도록 훈련해야 합니다.

⑤반드시 실전 대비 훈련을 하라

최근 각 대학은 홈페이지에 기출문제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면접 요령이나 방법에 관해서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사전에 실제 면접장과 비슷한 환경을 만들어 면접 절차와 내용을 연습해야 합니다. 연습은 실패의 경험을 쌓는 것입니다. 실전은 연습처럼 편안하게 해야 하고, 연습은 실전처럼 진지하게 해야 합니다.

/송기식 박문여고 교사

※위 논술카페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