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대 2016학년도 학교장 추천전형(인문계열 오후)
1. 아래 두 제시문에 공통된 '어울림'이나 '조화'의 개념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지원 전공분야와 관련해서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2. 아래 두 제시문에서와같이 '어울림'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말해보시오.
3. 인간관계에서 잘 어울리기 위해 필요한 덕목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다섯 가지를 말해보시오.
(가)《어울림 콘서트 공연 소개》
이 콘서트의 취지는, 국악과 양악의 어울림을 통하여 흥겨움과 경쾌함을 돋보이게 하고 시각과 청각을 만족시키는 종합예술로 승화시키는 것이다.
1. '소리와 몸짓' : 대북, 모듬북, 외북과 관현악이 어우러져 역동적인 합주가 이루어진다.
2. '소리의 어울림': 가야금의 빠른 템포로 시작을 알리고 관현악과 태평소가 한바탕 어우러진 뒤 피리의 아름다운 멜로디 부분에서는 태평소 2대가 선율을 이끌어간다.
3. '소리와 놀이' : 사물놀이 악기와 피아노가 우리의 전통 리듬 속에 주제선율을 연주한다. 관현악과 피아노의 선율, 사물놀이의 자유분방한 음악성이 휘몰아치는 타악 연주로 이어지고, 사물놀이의 쇠잡이와 피아노가 주고받는 짝드름, 소리의 조화와 만남 속에 어울림을 통하여 전체적인 소리의 장과 놀이의 장이 전개된다.
(나)
'비빔밥'은 '섞어 비빈 밥'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밥에 갖은 나물과 쇠고기, 고명을 올려 약고추장에 비벼 먹는 음식이다. 비빔밥에 들어가는 재료들은 각기 다른 맛과 특성을 갖는다. 매운 고추장을 밥과 다양한 재료에 넣고 비비면 매운맛은 사라지고 부드럽고 깔끔한 맛이 생겨난다. 비빔밥은 각각의 재료가 자기의 맛을 주장하지 않고 모든 재료가 서로 잘 어우러지는 음식으로서, 영양학자에 따르면 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은 물론 식물성 지방에 이르기까지 사람의 몸에 필수적인 5대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웰빙식품이다. 화이부동(和而不同), 즉 조화를 이루되 개성이 살아 있다는 이 말은 재료 고유의 맛들이 하나로 어우러지면서도 각자 살아 있는 비빔밥을 소개하기에 가장 적합한 말이다. 비빔밥은 그저 하나의 음식일 수도 있지만 그 한 그릇 속에는 우리의 문화가 생생하게 담겨 있다.
■ 예시 답안
[1번 문항]
①두 제시문과 연관해 '어울림'이나 '조화'의 개념에 대해 정의를 내린다. 두 제시문에 나타난 '어울림이나 조화'는 자신의 속성을 간직한 채 다른 것들과 어울려 새로움을 창출해 내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는 어울리는 과정에서 어느 하나가 다른 것을 압도하거나 어느 하나가 현저하게 부족하지 않고 각자의 개성을 발휘하는 가운데 전체로서 또 다른 하나를 만들어 가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②지원 전공분야와 관련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가 지원하는 사회학과의 입장에서 보면 공동체 안에서의 '어울림이나 조화'의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어떤 조직이든 능력과 특성이 다른 사람들이 모여 조직 전체가 목표하는 바를 위해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조화롭게 수행하면 그 조직은 개인으로서는 불가능한 일을 훌륭하게 수행해 낼 수 있습니다.
또 문화적 다양성이 강한 사회나 공동체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각각의 문화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사회나 국가를 만들어 갈 수 있는 것입니다.
[2번 문항]
①'어울림'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개인적인 차원으로 말한다. 어울림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 효과는 개인적인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나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 차원에서 볼 때 육체적 정신적 발전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비만이나 편식 등과 관련해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한다면 개인적 건강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지식의 습득도 다양한 분야에 대한 관심과 독서 활동을 유지한다면 자칫 빠지기 쉬운 지엽적 지식이나 생각의 편협성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나아가서는 보편적 사고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력을 넓혀나갈 수 있어 개인의 발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②'어울림'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사회적인 차원으로 말한다. 사회적 차원에서 볼 때 어울림과 조화는 수많은 사회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통합을 이루기 필요한 덕목이라 생각합니다.
모든 국가가 다문화를 지향하고 있지만, 여전히 국가나 민족적 차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진정한 문화적 통합이나 조화를 이뤄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조화의 정신은 지역의 이기주의를 극복할 수 있고, 다문화 사회에서 문화적 다양성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문화들을 창조해 나갈 수 있습니다.
[3번 문항]
하나. 타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라도 우선 자신에 대한 냉철한 성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에 대한 이해 없이 다른 사람을 올바로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둘. 자신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장점을 계발함과 동시에 경험과 지식이 풍부할수록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편협한 사고에서 벗어나 관계를 다양하게 확대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셋. 타인의 입장을 생각하는 역지사지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과 생각하는 방식이 비슷해 자신을 바라보는 방법으로 타인을 바라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넷. 공동의 관심사를 발견하고 상대의 관심을 존중할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관심사가 같거나 자신에게 관심을 보인 상대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고 싶은 생각이 들게 마련입니다.
다섯. 타인의 이야기를 먼저 들어주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때에 따라 타인에게도 누군가가 필요한 순간이 있기 때문입니다.
/송기식 박문여고 교사
※위 논술카페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