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선수단은 이번 대회에서 금 47개, 은 49개, 동 92개로 종합점수 3만6천885점을 획득하면서 목표로 한 종합 7위의 성적을 올렸다. 지난해 8위(금 58개, 은 56개, 87개·종합점수 3만6천379점)에서 한 계단 순위를 끌어올린 것.
목표 달성에 성공한 인천 체육이지만 이번 대회에서도 기초 종목에 대한 지원과 육성의 필요성은 재차 확인됐다.
인천 육상은 지난해 전국체전 트랙에서 17개 시·도 중 614점(금 2, 은 2)으로 종목 12위, 필드에서 494점(금 3, 은 1, 동 1)으로 14위, 도로에선 431점(은 1)으로 9위에 올랐다.
올해 대회에선 트랙에서 797점(금 2, 은 5, 동 6)을 획득하면서 8위로 뛰어 올랐지만 필드에서 319점(은 2)으로 15위, 도로에서 52점으로 최하위인 17위에 그쳤다.
지난 해에 비해 필드에서 175점, 도로에서 379점 하락했다. 특히 금메달 114개가 걸린 육상 종목에서 인천 육상이 획득한 금메달은 고작 2개였다.
올해 체전에서 인천 수영(경영·다이빙)은 1천69점(금 6, 은 3, 동 4)으로 종목 7위에 오르면서 선전했다. 하지만 안주하기엔 아쉬운 부분이 많다. 육상에 이어서 91개로 금메달이 많이 걸린 올해 체전 수영에서 정상에 오른 인천 선수는 3명뿐이다. 남 일반부의 박태환, 양정두, 다이빙 여 일반부 조은비(이상 인천시청)가 각각 2관왕을 차지하면서 인천수영을 이끈 것이다. 특히 고등부에서 정상에 오른 선수가 한 명도 없는 부분은 인천 체육 지도자와 행정가 모두가 짚어 봐야 할 대목이다.
올해 체육 예산이 17개 지자체 중 최하위권인 인천은 이번 체전에서 기초 종목의 아쉬움 속에서도 중상위권 수성에 성공하는 성과를 냈다. 좋은 분위기는 살려 나가되, 시체육회와 시교육청, 가맹경기단체는 유기적인 선수 육성을 토대로 장기적 관점에서 인천 체육의 기반을 다져야 한다.
/김영준 인천본사 문화체육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