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셋값 높은탓 인천행 분석
일자리 창출·교육환경 개선 필요
구도심-신도시 격차 완화 노력도
인천 인구가 지난달 19일 300만명을 돌파했다. 인천 인구는 1979년 100만명, 1992년 200만명을 넘어 300만명의 대도시가 됐다. 국내에서 인구가 300만명 이상인 도시는 서울·부산·인천 등 3곳뿐으로, 대규모 행정구역 개편 등 특별한 일이 없는 한 앞으로 '인구 300만 도시'가 탄생하긴 어려울 전망이다.
특별·광역시 가운데 인천의 토지 면적(1천62.1㎢)은 1위이며, GRDP(지역내총생산, 2014년 기준 69조5천억원)는 서울·부산에 이어 3위다.
인구 증가 현상은 긍정적 신호다. 사람이 몰리는 도시는 역동적이고 성장하는 곳, 살고 싶은 곳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다. 하지만 인구 증가 요인을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인천 인구는 1981년 1월 직할시로 승격하면서 급증했다. 1989년 1월 김포군 계양면, 옹진군 영종면·용유면이 편입되면서 약 2만8천명이 늘었다. 1995년 광역시가 되고 강화군·옹진군·검단면이 편입돼 그해 말 인구는 전년보다 7%나 증가했다. 1980·1990년대 인천의 인구 증가는 대규모 행정구역 개편에 기인한 측면이 있다.
최근에는 서울 인구가 비싼 전셋값에 밀려 인천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 인구가 1천만명 밑으로 떨어지는 등 감소 추세이고, 인천 전입 인구 가운데 서울에서 오는 사람이 가장 많은 게 사실이다. '자연적'(출생) 인구 증가보다 '사회적'(전입) 인구 증가가 많은 것도 인천의 현실이다.
인천이 서울 직장인들의 '베드타운'으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선 일자리 창출, 교육 환경 개선 등이 필요하다. 지난달 인천의 실업률은 4.4%로, 전국 평균(3.4%)은 물론 16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다.
전국적 현상인 저출산·고령화에도 적극 대응해야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지역 출산율은 1.216명으로, 전국 평균(1.239명)보다 낮다. 인천지역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10.9%이며, 12년 후인 2028년에는 인구 5명 중 1명이 고령자에 속하게 될 전망이다. 전입 인구에만 의지하면, 인천의 인구는 어느 시점 정점을 찍은 뒤 하향 곡선을 그릴 수 있다.
인천 인구가 300만명을 넘으면서 구도심과 신도시 간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중요해졌다. 인천발전연구원 연구 자료를 보면, 인천은 택지개발사업 등 대규모 개발이 있는 신도시를 중심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반면 구도심 인구는 줄어들고 있다. 중구·동구·남구·부평구·남동구·계양구의 노후 건축물 비율은 50%를 넘는다.
인천의 위상이 높아진 만큼 책임감도 커졌다. 인구 증가는 행정 수요가 늘었다는 뜻으로 도로·공원·주차장 등 도시 기반시설 확충이 뒤따라야 한다.
인천시민이 서울 등 다른 도시에서 소비하는 '역외소비율'(신용카드 기준)이 50% 이상인 점, 사업체 대부분이 종사자 20명 미만의 소규모 업체라는 점, 재개발 등 도시정비사업이 정체돼 있다는 점 등도 개선 또는 분발이 필요한 부분이다.
지난달 말 인천 인구는 300만445명으로 이 중 절반가량은 여성이다. 여성의 사회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한 것이다. 인천시 각종 위원회의 여성위원 비율은 29.5%로, 법정 기준(40%)에 못 미치고 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
[300만 인천이 되다·8·끝]과제
출생보다 많은 전입인구
'베드타운' 전락 막아야
입력 2016-11-16 23:03
수정 2016-11-16 23:03
지면 아이콘
지면
ⓘ
2016-11-17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