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g.jpg
김영래 지역사회부(시흥)
최근 시흥시가 추진하고 있는 역점 시책사업이 시흥시의회의 제동으로 좌초됐거나 좌초될 위기에 처해 있다.

예산이 전액 삭감되거나 일부 사업은 '공수표'사업으로까지 낙인이 찍혔다. 그러나 그 배경이 시민의 입장이 아닌 특정 공직자를 견제하기 위한 것이란 소문이 나돌고 있다.

시흥시의회 한 시의원의 말을 빌리자면 소문이 아닌 사실이다. 한 시의원은 대놓고 "시흥아카데미나 잔디 사업은 특정 공직자 A씨의 시장 출마를 위한 사조직 사업"이라고 했다며 그래서 하면 안되는 시책사업이란다.

여·야 일부 의원 모두 비슷한 뉘앙스로 A씨가 추진해온 사업에 대해 타과 이첩이나, 사업에 제동을 걸고 있다. 견제 정치가 이뤄지고 있다는 얘기다.

더욱이 최근 시의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과정에서 드러난 사실인데 천연잔디 사업을 비판한 시의원이 주도해 만들어진 천연잔디 구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것도 잔디사업 추진부서가 아닌 타과에 예산(7억원)을 세우라고 주문까지 했다.

그러나 11억원의 공사비로는 예산이 부족했고 결국 잔디사업 추진부서가 나서 반가격(4억9천만원)에 구장을 조성했다. 하지만 이 구장은 잔디 부서가 만든 구장이 아닌 시의원이 만든 구장, '남이 하면 불륜 내가 하면 로맨스'가 됐다.

시흥아카데미 특정 교육 영상도 최근 동영상 검색 건수가 70만뷰 이상 오르는 등 인기가 폭발적이다. 내용이 알차다는 대외적 평가다.

12월 5일 A씨 부서의 예산 심의에서 결정되겠지만 의회는 이 사업도 A씨가 근무하는 부서가 아닌 타 부서에서 해야 한다는 식이다. 그 이유도 A씨의 '시장출마설'을 꺼내 시민을 위한 시책사업을 마치 A씨의 사조직 사업이라 지칭하며 사업을 막아서고 있다.

시의회가 42만 시흥시민을 위한 정책인지에 판단을 해야 함에도 그가 하면 '불륜'이라는 정치를 하고 있는 셈이다.

시흥시민들도 이제 무엇이 오른 지, 의회가 잘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진짜 그의 사조직 사업인지에 대해 판단해 목소리를 내야 한다. 학교 운동장에 천연잔디를 심으면 혜택을 보는 이는 시민일 것이며 무료로 특수분야의 기술을 배울 기회의 선택권도 시의원이 아닌 시민에게 있는 것 아닌가. 

시흥/김영래기자 yr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