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3월말 현재 인천의 가구당 총자산은 2억8천983만원이다. 전국 평균 3억6천187만원의 80.1%. 같은 수도권 서울 4억9천933만원의 58.0%, 경기도 3억9천260만원의 73.7% 수준이다. 집집마다 자산이 서울보다 2억원, 경기도보다 1억원 이상 적은 셈이다. 16개 광역시도 중 11위다. 그러면서 가구당 부채는 6천486만원으로 전국 평균 6천655만원과 별 차이가 없다. 16개 광역시도 중 3위. 그러다보니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의 경우 인천은 가구당 2억2천497만원으로 전국 평균 2억9천533만원의 75.1%(서울 4억262만원의 55.9%)이다. 16개 시도 중 14위다. 올해도 인천보다 순자산 규모가 작은 곳은 7대 광역시와 9개 도를 통틀어 전라남·북도 밖에 없다.
먼저 좀체 성적이 오르지 못하는 것이 걱정이다. 이 조사가 시작된 2012년만 해도 인천의 가구당 총자산 순위는 전국 7위였다. 실물자산이 6위, 금융자산이 8위를 기록했었다. 그러던 것이 2013년 실물자산과 금융자산이 모두 11위권으로 밀려나더니 올해에도 각각 11위, 10위로 나타났다. 가구당 순자산 규모는 2012년 8위에서 2013년, 2014년 연속 13위를 기록하고, 지난해와 올해에는 한 단계 더 떨어진 14위에 머물고 있다. 그나마 형편이 조금 괜찮은 가구당 소득에 기대를 걸자 해도 만만치 않다. 2011년 16개 시도 중 7위를 차지하였던 인천의 가구소득이 2012년 9위, 2013년 11위로 떨어지다가 2014년에 들어서 8위로 오르더니 2015년에는 충남에 다시 뒤져 도로 9위로 내려앉았다. 가구당 평균소득 4천642만원은 전국 4천883만원의 95.1%로 서울 5천357만원의 86.6%, 경기도 5천205만원의 89.2% 수준이다.
게다가 질적인 건전성을 들여다보면 걱정이 더 커진다. 근본적으로 인천의 가구당 자산이 토지나 건물 등 실물에 치중되어 있는데 비해 부채규모가 너무 크다. 가구당 총자산 중 실물자산의 비중이 75.4%이면서 동시에 총부채 중 금융부채의 비중이 78.3%이다. 또 가구당 평균 금융부채비율(=금융부채/금융자산)이 71.1%로 전국 49.9%, 서울 39.0%, 경기 55.9%에 비해 높아도 너무 높다. 최근 부동산열풍이 불고 있는 제주의 81.8%에 이어 16개 광역시도 중 2위를 차지하고 있다. 총자산대비 총부채비율(22.4%), 총자산대비 금융부채비율(17.5%), 순자산대비 총부채비율(28.8%), 금융저축대비 금융부채비율(95.2%) 등 각종 부채비율은 모두 전국 16개 광역시도 중 1위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들 부채비율이 전년동기에 비해서는 미약하지만 개선을 보이면서 개선정도로 보면 1위 내지 3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달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국내의 시장금리가 이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걱정만 해오던 가계부채 문제가 현실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리가 오르면 가계의 부채비율이 가장 높은 인천가계의 어려움이 가장 커질 것은 불문가지이다. 주택구입의 중심세력인 핵심생산가능인구가 이미 줄어들고 있는 인구구조를 생각하면 향후 부동산 가격의 지지가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벌써 전세가격을 포함해 주택가격의 하방리스크가 커지는 가운데 자산가치의 감소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다. 가계의 자산가치는 하락하는데 부채의 증가가 겹치면서 이자상승으로 상환부담이 커지고 소비여력이 줄어들게 되면 가계를 중심으로 한 인천경기의 냉각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기업생산 확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인천광역시의 경제산업정책이 이제 가계부문의 소득과 소비 확대에도 크게 관심을 두어야 하는 이유이다.
/김하운 (사)함께하는 인천사람들 대표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