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22701001784200086781.jpg
정부가 2030년까지 9조원을 투입해 인천항을 세계적인 물류 및 해양관광 중심지로 육성한다. 사진은 컨테이너 물류 허브로 육성될 인천신항 전경. /인천항만공사 제공

정부가 인천항을 세계적인 물류 관문이자 해양관광 중심지로 키우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에 나선다.

오는 2030년까지 총 9조원을 인천항에 투입, 연간 2억톤의 물동량을 처리하는 수도권 물류 거점으로 특성화하고 인천항 일대는 해양관광벨트로 육성한다.

해양수산부는 2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인천항 종합 발전계획 2030'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인천항을 신항·내항·남항·북항의 특성을 살리면서 물류 기능을 대폭 강화한다.

신항은 날로 늘어나고 있는 컨테이너 물동량을 집중적으로 처리하는 '수도권 컨테이너 물류 허브'로 육성한다. 대형 선박들이 접안에 불편하지 않도록 내년 5월까지 준설작업을 통해 항로 수심을 14m에서 16m로 증심하고, 컨테이너 전용부두와 항만배후단지를 단계적으로 공급키로 했다.

현재 남항에서도 컨테이너를 처리하고 있는 것은 신항으로 일원화 하고, 남항은 자동차 전용 부두를 조성해 '자동차 물류 단지'로 육성키로 했다.

모래와 석탄 부두가 운영되고 있는 내항은 항만 재개발 및 항만산업 클러스터 지정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해 모래·석탄부두 기능을 폐쇄하고 새로운 기능을 부여할 계획이다.

북항은 현재의 기능을 살려 제철 및 목재가공 등 배후 산업 물류지원 기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해양수산부는 "인천항은 총 물동량이 국내 항만 중 4위이지만 물동량 증가율은 2010년 이후 연평균 1%에 머물고 있어 새로운 미래 동력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이 지속돼 왔다"며 "종합발전계획은 이같은 인천의 요구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특히 인천 신항을 컨테이너 물류단지로 집중 육성하는 것은 올해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이 사상 최대인 268만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까지 늘어나는 등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2016122701001784200086782.jpg
정부가 인천 남항 일대에 조성을 추진하고 있는 '골든 하버' 조감도. /인천항만공사 제공

정부는 이처럼 인천항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개선하는 것과 더불어, 인천항 일대를 해양관광벨트를 구축하고 인천국제공항 등을 연계하는 계획도 내놓았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골든하버 프로젝트'를 통해 2019년까지 남항에 22만t급 크루즈 전용부두와 국제 카페리 터미널, 복합 쇼핑몰 등을 입주시킨다는 계획이다.

또 2020년에는 영종 매립지를 호텔, 쇼핑몰, 연구소 등을 고루 갖춘 '한상드림아일랜드'로 재개발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이와함께 현재 준설토 투기를 통해 매립지로 조성되고 있는 땅은 물류·산업용지로 공급하고 배후 교통망을 확충해 대규모 배후단지로 활용키로 했다. 인천항 인근에 위치한 준설토 투기장은 2030년까지 총면적 1천366만㎡의 매립지로 전환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인천항 종합 발전계획에 재정 1조5천억원, 민자 6조9천억원, 지방자치단체 6천억원 등 총 9조원을 투입키로 했다.

해수부는 이번 발전계획이 실제로 진행되면 21조1천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13만명 고용 등의 파급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