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공사 탓에 개통조차 못하고 철거된 월미은하레일의 대체 시설로 추진되던 '월미모노레일' 사업이 백지화 쪽으로 가닥이 잡히면서, 이 사업을 추진하던 민간사업자는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인천교통공사는 월미모노레일 사업협약을 해지하기로 이사회에서 의결하고, 최종 의사결정만 남겨두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이중호 인천교통공사 사장은 "월미모노레일 사업을 추진해 온 민간 사업자가 예정한 공정을 진행하지 않고, 자금확보계획 제출 등 우리 측 요구를 이행하지 못했다"며 "아직 협약은 유효한 상태고, 월미모노레일 주변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다음 주 중 최종 의사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했다.

월미모노레일은 월미도를 순환하는 6.1㎞ 구간에 4개 역을 두고 오는 5월 개통할 예정이었다. 애초 계획대로라면 전체 차량 70량 중 18량 정도가 이미 제작됐어야 하지만 시제차량 1량 외에는 진척이 없는 상태다. 190억원에 달하는 사업비 조달계획도 확실치 않은 상황이다.

이번 사업을 추진하던 민간 사업자 측은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사업자 측은 안전기준 강화 등으로 지난해 9월에야 건축허가 절차를 완료했다며 인천교통공사가 충분한 시간도 주지 않고 협약을 해지하려는 건 부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업자 측은 인천교통공사 경영진이 바뀐 뒤 기존 월미은하레일 시설설비 현황을 제때 제공하지 않는 등 사업 추진에 비협조적이었다고도 강조하고 있다.

민간사업자 측은 2015년 2월 총 공사비 190억원을 부담하고 매년 8억원의 임대료를 교통공사에 내는 조건으로 20년간 운영권을 받았다. 당시 민간사업자 측의 기술력과 재정능력에 문제가 없다며 사업 성공을 자신하던 인천교통공사의 책임론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