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은 정권 생각보다 견고
트럼프 당선, 북핵 해결 기회"
천영우 한반도미래포럼 이사장은 "북한이 김정남에 대해 지속적으로 암살을 시도한 것은 김일성 일가의 신격화 과정에서 '최고 존엄'에 누를 끼치는 걸어 다니는 바이러스로 여겼기 때문"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천 이사장은 23일 경인일보와 인천경영포럼이 공동 주최하는 오찬강연회에서 "김일성으로부터도 손자로 인정받지 못한 김정남은 우리가 알고 있는 만큼 북한 내에서 중요한 사람이 아니다"며 "김정은은 김정남이 자신의 권력에는 위협적인 존재가 못되지만 김일성가의 우상화 작업에 해가 된다는 판단아래 제거한 것"이라고 했다.
아웅산테러·KAL기 폭파 등 (테러에 대한) 경험을 축적하고도, 암살장소로 공항을 선택해 범행과정이 모두 노출되게 한 것은 허술함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라고도 했다.
천 이사장은 김정은 정권이 생각보다 견고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김정은이 외국에서 공부했고, 수년 만에 정권을 장악한 것을 보면 할아버지인 김일성이나 아버지인 김정일보다 내공이 깊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미국대통령 당선은 한반도 입장에서 어쩌면 다행스러운 일이라는 입장도 피력했다.
천영우 이사장은 "트럼프 당선은 미국 역사상 이변을 만든 괴물의 출현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면서 "하지만 김정은이란 괴물을 다룰 수 있는 괴물로 한반도에서는 북한 핵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은 셈"이라고 설명했다.
천 이사장은 "트럼프행정부가 미국의 일자리 감소와 제조업 기반붕괴의 원인으로 꼽는 NAFTA 손질에 나선 만큼 한미 FTA 재협상도 요구할 것"이라면서 "현재의 한국정부 운명이 어찌 될 지 몰라 지금은 적기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방위비 분담 요구에 대해서는 "우리 정부가 평택 미군기지조성에 막대한 자금을 들여서 어느 정도는 미국의 압박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미국의 첨단 정밀자산을 국내에 배치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경제적 수지타산 관점이나 안보차원에서 이익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천영우 이사장은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등을 거친 외교안보전문가다.
/이영재기자 young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