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인천교통공사가 추진하던 '월미모노레일' 사업의 무산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정상화 방안을 찾기 위한 실무회의는 뚜렷한 결과 없이 2주 넘게 사실상 공회전만 하고 있다.
인천시는 14일 전성수 행정부시장 주재로 월미모노레일 사업관련 실무회의를 4시간 정도 진행했지만, 이렇다 할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인천교통공사는 민간사업자에 앞으로의 투자확약서, 사업 이행계획 등을 제대로 내놓으라고 주장하고 있고, 민간사업자는 월미은하레일 시설물 일체를 포괄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수인계서 작성을 인천교통공사에 요구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교통공사는 투자확약서 등 요구사항이 제출돼야 민간사업자 측 요구사항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입장이고, 민간사업자는 교통공사의 시설물 인수인계서 등이 있어야 투자확약서 등을 제출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식의 논란으로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고 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면서, 인천시가 월미모노레일 사업이 무산될 경우 악화될 수 있는 지역 여론을 부담스러워 해 대안 없이 시간만 끌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인천교통공사는 앞서 긴급 이사회를 열고 민간사업자와의 월미모노레일 사업협약 해지를 의결하는 등 사업 백지화 쪽으로 가닥을 잡은 상태다. 인천시는 이후 "월미모노레일 사업을 정상화할 방법을 찾아보자"며 중재를 자청해 인천교통공사, 민간사업자, 지역 주민 등이 참여하는 이번 실무회의를 2주 넘게 주도해 왔다.
월미모노레일 사업은 부실공사로 개통조차 못하고 철거된 월미은하레일의 대체시설로 추진됐다. 민간사업자 측은 2015년 2월 모노레일 공사비 190억원을 부담하고 매년 8억원의 임대료를 교통공사에 내는 조건으로 20년간 운영권을 받았다. 올해 5월 말 개통 예정이었지만, 차량제작 등이 계획대로 추진되지 않은 상태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
월미모노레일 정상화 실무회의, 2주넘게 '공회전'
교통공사 협약해지 의결 등 백지화 가닥 불구 市 '시간끌기' 비판
입력 2017-03-14 23:02
수정 2017-03-14 23:0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7-03-15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