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월호 인양 전 최종 점검 작업이 모두 완료됐지만 높은 파고가 예보돼 시험인양은 시도하지 못했다.
19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세월호 인양 장비 등에 대한 사전 점검이 이날 모두 마무리됐다.
해수부와 인양업체인 상하이샐비지는 세월호를 끌어올릴 66개 유압잭과 와이어(인양줄)의 인장력, 중앙제어장치 센서들에 대한 시험과 일부 보완작업을 벌였다. 그 결과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18일 진행된 와이어 장력 테스트에서 발견된 일부 와이어가 꼬이는 현상은 꼬임 방지 장치를 설치한 후 이날 오후 다시 시험해 정상 작동하는 모습을 확인했다.
당초 인양단은 잭킹바지선의 유압을 실제로 작동시켜 세월호를 해저면에서 1~2m 들어 올리는 시험인양을 시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날 오전 6시 기준 기상 예보에서 20~21일 파고가 최대 1.7m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시험인양을 보류했다.
인양단은 일단 유압잭에 연결된 와이어를 이완시켜 대기하고 22일 이후의 기상여건을 보면서 시험인양 등 후속 일정 진행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양형종 기자 yanghj@kyeongin.com
19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세월호 인양 장비 등에 대한 사전 점검이 이날 모두 마무리됐다.
해수부와 인양업체인 상하이샐비지는 세월호를 끌어올릴 66개 유압잭과 와이어(인양줄)의 인장력, 중앙제어장치 센서들에 대한 시험과 일부 보완작업을 벌였다. 그 결과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18일 진행된 와이어 장력 테스트에서 발견된 일부 와이어가 꼬이는 현상은 꼬임 방지 장치를 설치한 후 이날 오후 다시 시험해 정상 작동하는 모습을 확인했다.
당초 인양단은 잭킹바지선의 유압을 실제로 작동시켜 세월호를 해저면에서 1~2m 들어 올리는 시험인양을 시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날 오전 6시 기준 기상 예보에서 20~21일 파고가 최대 1.7m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시험인양을 보류했다.
인양단은 일단 유압잭에 연결된 와이어를 이완시켜 대기하고 22일 이후의 기상여건을 보면서 시험인양 등 후속 일정 진행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양형종 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