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 갖지 않도록
성과에 대한 보상 명확히 할 필요
취업자도 기업의 일원으로서
자랑스러움 갖고 자기 비전을
실현할 수 있는 장임을 인식해야
중소·중견기업의 인력확보 애로가 지속되고 있다. 최근 고용통계를 보면 2016년말 기준 고용인원 300인 미만 기업의 인력부족률이 2.8%이고 특히 경기지역은 3.4%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인력부족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인구구조 측면에서 보면 특정 연령대의 인구수가 급격히 떨어지는 인구절벽현상이 현재 10~20대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도 원인이다. 또한 앞의 사례와 같이 소위 3D업종으로 인식되는 기업이라 젊은 층이 취업을 기피하거나, 기업의 성장수준에 맞는 우수인력 확보가 어려운데도 원인이 있다.
인구 구조적인 원인은 중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부모가 자녀 출산과 양육으로 인한 사회적, 물질적 스트레스를 적게 받을 수 있도록 여가와 근로, 자녀양육 관련 제도와 환경의 개선을 꾸준히 시도하는 과정을 거쳐 젊은 세대가 자연 증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는 우리 경제의 지속 성장과 직결되는 아주 중요한 문제이기에 그 해결을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단기적으로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취업 기피를 해소하고 우수인력 확보가 가능하도록 정책을 설계하고 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간 정부는 중소·중견기업의 인력양성을 위해서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산학맞춤 기술인력 양성사업, 일학습병행제 등을, 인력유입을 위해서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중소기업 계약학과 등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공급과 수요가 미스매치되는 현상이 지속되는 것은 기업의 구직자에 대한 기대, 취업자의 기업에 대한 기대의 불일치문제가 여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취업자의 역량, 재직에 대한 보상의 불일치로 볼 수 있는데 여기에 중소·중견기업이 작고 알려지지 않았다는 사실로 인한 사회·경제적 편견이 더해져 인력유입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자발적인 실업이 인정되는 환경에서 정부의 정책적인 노력만으로 중소기업의 인력부족률을 '0'으로 낮추는 것은 실업률을 '0'으로 낮추는 것과 마찬가지로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인력난의 궁극적인 해결책은 당사자인 기업가와 구직자 간 인식의 불일치를 최소화시키고 이를 통해 실질적인 인력부족률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 기업인들이 해야 할 일은 재직자의 성과에 대한 보상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구직자 입장에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 대한 보상으로 높은 수익을 기대하는 것은 당연하다. 물론, 그 보상의 형태는 남들이 취득하지 못하는 경험과 지식의 습득일 수도 있고, 미래의 성과에 대한 금전적 보상일 수도 있다.
기업인들이 원하는 인력을 채용할 때, 이런 부분에 대한 설계를 통해 인력유입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정부도 내일채움공제 등을 통해 핵심인재에 대한 금전적 보상을 지원하고 있고 더 크게는 미래성과공유제 도입을 통해 기업과 운명을 함께하는 인재 유입을 유도하고 있지만 기업인들은 이보다 더 자기 기업에 특화된 성과공유 모델을 갖추는 것이 필요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될 것이다.
여기에 더해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취업자 인식의 변화도 필수적이다. 우리 경제의 주역으로 중소·중견기업 역할이 커지고 있는 시대적 상황에서 중소·중견기업의 일원이 됨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중소·중견기업을 자신의 비전을 실현하는 장으로 활용하는 능동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김영신 경기지방중소기업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