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월호를 해수면 위 13m까지 끌어 올리는 인양 작업이 완료됐다.
해양수산부는 24일 오전 11시 10분 세월호를 13m 인양하는 작업을 완료하고 고박 마무리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좌측 선미램프 제거 등으로 인해 당초 설정한 목표 시점보다 꼬박 하루가 더 걸렸다.
인양팀은 잭킹바지선을 지탱하고 있는 8개씩의 묘박 줄(닻줄)을 회수하고 있다.
오전 중 작업을 마무리하면 세월호는 바로 반잠수선이 기다리는 남동쪽 3km 지점으로 이동한다.
4~5대의 예인선이 와이어로 묶인 세월호와 두 척의 바지선을 끌어야 한다. 3척의 배가 한 덩어리가 돼 있어 속도를 높이기 쉽지 않다. 이동 시간은 2시간 정도로 예상된다.
세월호가 물밑에 내려간 반잠수선 위에 자리 잡으면 반잠수선이 서서히 부상하면서 세월호를 떠받치게 된다.
반잠수선에 선박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의 길이는 160m이지만 세월호는 길이가 145m에 달해 오차범위가 15m 밖에 되지 않는다.
해수부는 일정이 지체된 만큼 소조기가 끝나기 전인 이날 자정까지 세월호를 반잠수선 위에 올려놓기만 할 수 있다면 승산이 있다고 보고 있다.
/양형종 기자 yanghj@kyeongin.com
해양수산부는 24일 오전 11시 10분 세월호를 13m 인양하는 작업을 완료하고 고박 마무리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좌측 선미램프 제거 등으로 인해 당초 설정한 목표 시점보다 꼬박 하루가 더 걸렸다.
인양팀은 잭킹바지선을 지탱하고 있는 8개씩의 묘박 줄(닻줄)을 회수하고 있다.
오전 중 작업을 마무리하면 세월호는 바로 반잠수선이 기다리는 남동쪽 3km 지점으로 이동한다.
4~5대의 예인선이 와이어로 묶인 세월호와 두 척의 바지선을 끌어야 한다. 3척의 배가 한 덩어리가 돼 있어 속도를 높이기 쉽지 않다. 이동 시간은 2시간 정도로 예상된다.
세월호가 물밑에 내려간 반잠수선 위에 자리 잡으면 반잠수선이 서서히 부상하면서 세월호를 떠받치게 된다.
반잠수선에 선박을 실을 수 있는 공간의 길이는 160m이지만 세월호는 길이가 145m에 달해 오차범위가 15m 밖에 되지 않는다.
해수부는 일정이 지체된 만큼 소조기가 끝나기 전인 이날 자정까지 세월호를 반잠수선 위에 올려놓기만 할 수 있다면 승산이 있다고 보고 있다.
/양형종 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