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월호는 배수와 방제 작업을 마치게 되면 30일 전후 목포신항으로 출발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는 27일 세월호 선체 안에 있는 해수 배출 등의 준비 작업을 마친 뒤 30일 전후에는 목포신항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지난 26일 0시 반잠수식 선박이 완전 부양하면서 현재 세월호는 배수와 잔존유 제거 작업을 벌이고 있다.
해수부는 물이 잘 빠지지 않는 밀폐된 선체 하부의 경우 현장에서 구멍을 뚫지 않고 목포신항에 접안한 뒤 거치 후 실시키로 했다.
천공 등을 통한 선체 내 유성혼합물 회수는 용접작업이 수반되는 선체 고정 및 부력탱크 제거 작업과 병행해 진행할 경우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해수부는 이날 안으로 와이어 제거 작업을 마무리한 뒤 폭포신항으로 이동 중 세월호가 움직이지 않도록 반잠수식 선박과 선체를 고정하는 작업에 들어가 이를 이틀간 진행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세월호가 침몰해 있던 해저면에서 미수습자와 유류품을 찾는 작업은 4월 초부터 시작할 방침이다.
해양수산부는 27일 세월호 선체 안에 있는 해수 배출 등의 준비 작업을 마친 뒤 30일 전후에는 목포신항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지난 26일 0시 반잠수식 선박이 완전 부양하면서 현재 세월호는 배수와 잔존유 제거 작업을 벌이고 있다.
해수부는 물이 잘 빠지지 않는 밀폐된 선체 하부의 경우 현장에서 구멍을 뚫지 않고 목포신항에 접안한 뒤 거치 후 실시키로 했다.
천공 등을 통한 선체 내 유성혼합물 회수는 용접작업이 수반되는 선체 고정 및 부력탱크 제거 작업과 병행해 진행할 경우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해수부는 이날 안으로 와이어 제거 작업을 마무리한 뒤 폭포신항으로 이동 중 세월호가 움직이지 않도록 반잠수식 선박과 선체를 고정하는 작업에 들어가 이를 이틀간 진행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세월호가 침몰해 있던 해저면에서 미수습자와 유류품을 찾는 작업은 4월 초부터 시작할 방침이다.
/김신태기자 sinta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