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2801002113400102931
전상천 지역사회부(김포) 차장
123년 전 김포를 찾아온 언더우드 선교사. 그는 김포에서 한국 근대교육의 시초를 마련한 것으로 유명하다.

언더우드는 김포에서 소학교인 신명학교(1906)를 설립해 최초의 근대교육을 시작했다. 이어 여성 교육을 통한 남녀평등 사상 고취를 위해 여학교(1921)도 운영해 여성들을 사회 지도자로 성장할 기반을 닦아줬다.

언더우드가 강조했던 '자주 의식'과 '항일정신'은 훗날 김포 군하·오라리 등지에서 펼쳐진 김포 만세운동의 원동력이 되는 등 김포지역뿐만 아니라 한국 교육에 뿌린 씨앗은 근현대의 밑거름이 됐다.

이에 따라 지역에선 지난 1894년 김포에 첫 교회가 세워진 걸포중앙공원에 언더우드 기념비를 건립하고 근대와 오늘을 이어주는 김포의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하자는 의견이 대두해 왔다.

이 같은 지역 여론을 반영, 김포시 역사문화유산보존회(회장·최영철)는 지난 28일 시민기금 1억원을 모아 "김포 걸포중앙공원에 '언더우드 선교사 기념비'를 만드는데 보태 달라"고 김포시에 기탁했다. 이에 김포시는 지자체 예산 1억원 등 총 사업비 2억원을 투입, 내년 상반기 내에 언더우드 기념비 건립을 완료키로 하는 등 근·현대 역사문화유산 찾기에 민관이 한마음 한뜻을 모았다.

특히 기념비 건립 기금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모은 성금인지라 그 뜻이 매우 크다. 그러나 아쉬운 부분도 크다.

근현대 역사유산인 언더우드에 대해 선교사로서, 교육자로서 다양하게 위상을 조명하는 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김포 시민들의 뜻을 모아가는 과정을 통해 좀 더 많은 동의와 참여를 이끌어내는 게 바람직하다.

또 언더우드 기념비는 근현대역사 유산이 담긴 지역 박물관과 함께 건립되고, 그가 세운 100년이 넘은 김포제일교회 등과 연계해 신앙성지로 재조명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 언더우드가 교회를 처음 세운 곳이라는 의미에서 기념비 건립지를 걸포 중앙공원으로 정하기보다는 언더우드의 삶과 업적을 보다 입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

'언더우드'의 이름을 칭송하는 기념비 건립을 정작 본인은 좋아하지 않는다고 전한 언더우드 손자의 말을 유념해야 한다. 하나님의 도구로 살기를 원했던 언더우드의 믿음에 누가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전상천 지역사회부(김포) 차장 juns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