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만 년에 걸쳐 만들어진 서해안 일대 모래 퇴적층이 사라지는데 걸린 시간은 수년 남짓입니다."
조성원(67·사진) 경기남부수협조합장은 30일 "해를 거듭할수록 바닷모래를 끌어 올리는 기술이 좋아져 현재 바다 밑은 모래층이 완전히 사라지고 거대한 웅덩이가 만들어졌다"며 "고기들의 집을 없애는데 고기가 있을 수 없다. 자연스럽게 우리나라 연안에서 꽃게와 광어 등 핵심 어종은 급격히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진단했다.
조 조합장은 "후손에 물려줘야 할 소중한 공유재산인 바다가 아무런 감시 없는 상황에 파괴되고 있다. 어민뿐 아니라 복구비용을 감당해야 할 전 국민이 피해를 감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선진국에서는 환경 피해를 미리부터 예상해 철저한 관리 감독을 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관리 감독이란 게 전무하다시피 하다. 실제 일본의 경우도 2000년 바닷모래 채취로 어족자원이 60% 이상 감소한 사실이 확인되자 즉각 모래 채취를 중단한 바 있다.
조 조합장은 "이같이 피해가 자명한데도 정부가 수산업을 철저히 외면한다면 큰 재앙을 맞을 것"이라며 "어민들의 생존권을 무시하고 바닷모래 채취가 지속적으로 진행된다면 모든 방법을 동원해 저지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그는 "4대강 사업하면서 파낸 양질의 모래가 전국에 쌓여있다. 왜 두 업계가 갈등을 빚어야 하는지,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가 해결점을 찾지 못하는 것인지 이해가 안 간다"며 "국회와 국토부, 해양수산부, 연구기관, 수산업계, 환경단체 등이 참여하는 범대책위원회를 만들어 어업 피해조사와 함께 항구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전시언기자 coo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