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지엠 노조간부 비리' 수사결과 눈길
'제멋대로 인천 통계연보' 부실 보도 호평
청소년 노동실태 구체적 자료없어 아쉬워
경인일보 2월 지면을 평가하는 독자위원회가 지난 13일 오후 인천본사 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독자위원회 회의에는 김하운(함께하는 인천사람들 대표) 독자위원장과 이경환(SGI서울보증 삼화대리점 대표)·조강희(인천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이광수(인천시교육청 장학사) 독자위원이 참석했고 경인일보에서는 임성훈 문화체육부장이 나와 의견을 들었다.
이달 독자위원은 사회 곳곳을 비추는 다양한 영역의 사회문제를 다룬 기사들이 지면을 채워 눈길을 끌었다고 입을 모았다.
이경환 위원은 <'머물 곳 없는' 인천지역 성인 발달장애인들>(13일 23면) 기사를 인상 깊게 읽었다고 했다. 이 위원은 "머물 곳 없는 인천지역 성인 발달장애인의 현실과 또 그나마 있는 주간보호센터도 수용인원 부족으로 어려운 현실을 잘 보여줬다"며 "언론이 앞장서서 장애인복지 사각지대인 중증 장애인들의 재활·수용시설 확대를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 복지지출을 보면 행정에서 검증하기 까다로운 복지 영역에는 예산 배분과 집행이 잘 이뤄지지 않는 것 같다"며 "복지예산이 특정 영역으로 쏠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살펴볼 필요도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경환 위원은 또 <소규모아파트 경비 '무방비 인권'>(14일 23면) 기사도 눈여겨봤다고 했다. 그는 "300가구 미만 소규모 아파트 역시 공동주택관리법에 따른 감독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것도 언론의 역할이다. 이들이 제도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관련 법 개정 등을 위해 노력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이광수 위원은 <"내 아이 먼저" 빗나간 자식사랑에 '흔들리는 교단'>(3일 23면) 기사를 눈여겨봤다고 했다.
이 위원은 "교권침해의 구체적 사례와 최근 발생한 교원침해 관련 통계 자료를 인용해 자세하게 설명한 점이 인상적이었다"며 "후속 기사를 작성한다면 점차 무너지고 있는 교권의 회복 방안과 교권과 학부모의 권리가 조화롭게 어울리기 위한 대안 등에 관한 부분도 다뤄주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조강희 위원은 <검찰, 한국지엠 노조 채용·납품비리 수사결과>(8일 23면) 기사가 관심을 끌었다고 했다.
조 위원은 "한국지엠 임원과 노조간부 사이 비리공생의 추악한 민낯을 보여준 기사였다"며 "지속적인 보도로 인천지역의 다른 대기업 노조에도 경종을 울리고, 또 새로운 한국지엠 노조 집행부에도 이런 행태와 관련한 분명한 태도를 가질 것을 언론이 요구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도깨비 촬영 순례' 안 반가운 배다리 상인>(20일 23면) 기사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경환 위원은 "드라마 촬영장소로 유명세를 타도 지역 상인의 매출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오히려 주민에게 불편함을 안겨주는 문제를 잘 보여줬다"며 "모두 상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조 위원도 "지역 주민과 소통 없는 인천관광공사의 행태를 잘 꼬집었다"고 했다.
<'제멋대로' 인천통계연보>(17일 1면) 기사도 호평을 받았다. 조 위원은 "시가 발행하는 공식 통계자료인 통계 연보의 오류와 부실을 지적한 기사였는데, 필요하다면 민간 연구소와 함께 시가 생산하는 통계를 검증하는 방안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동네서점 살리기' 가로막는 부평구>(21일 23면) 기사가 부평구문화재단이 도서 구매 과정에서 소규모 지역 업체 참여에 벽을 세워두고 있었다는 점을 잘 꼬집었고 지역 서점 활성화 측면에서 적절한 기사였다는 의견도 있었다.
반면 이달 아쉬운 기사도 많았다.
이광수 위원은 <"청소년 '고용주 갑질 고통' 노동인권조례 통과시켜야">(9일 19면) 기사에 대해 "지역 청소년 노동 실태에 관한 구체적 자료가 제시되지 않아 아쉬웠고, 조례 제정을 반대하는 측의 이유 역시 불분명했다"며 "쌍방의 주장을 모두 이해하기 힘든 기사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인천 중도입국학생 증가세… 학교생활 맞춤형 대책 절실>(8일 23면)기사에 대해서 "가시에서 제시된 통계와 언급된 문제점이 상관관계가 없어 보였다"며 "또 제시된 문제점이 구체적이지 않아 기사에서 구체적인 대안도 제시하지 못해 아쉬움이 많았다"고 했다.
<인천 교통안전체계 '1등급'… 사람 중심 정책 파란불>(8일 3면) 보도가 미흡했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경환 위원은 "표나 수치 등 구체적인 데이터비교가 없어 이해하기 힘들었다"며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노력이 부족해 보이는 인상을 지울 수 없었다"고 했다.
조 위원은 <車 9만3500대 1년 정지효과… '맑은 공기' 프로젝트는 ing>(22일 3면) 기사가 아쉬웠다고 했다. 조 위원은 "공항·항만·가스·매립지 등 지역 4개 공기업의 대기오염물질 저감 실적 발표를 기사화했는데, 해당 공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생산한 통계였다"며 "앞으로 이러한 평가에는 3자의 객관적 검증에 참여할 필요성이 있어 보였다"고 지적했다.
/김성호기자 ksh9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