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3101002369600114901.jpg
반잠수식 선박 화이트마린호에 실린 세월호가 31일 침몰 1080일 만에 전남 목포시 목포신항만으로 들어오고 있다. /연합뉴스

세월호가 당초 예상보다 조금 빠른 1시쯤 목포신항에 도착해 접안을 완료해 마지막 항해을 마쳤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 발생 1천80일 만이자 세월호가 수면 위로 올라온 지 엿새 만이다.

해양수산부는 31일 오후 1시쯤 세월호를 실은 반잠수식 선박이 목포신항 철제부두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30분 뒤인 1시 30분쯤엔 반잠수선이 최종 접안함으로써 항구에 온전히 정박했다.

앞서 세월호는 반잠수선에 실려 오늘 오전 7시쯤 목포신항으로 출발했다. 세월호 이송 항로에는 새벽부터 비가 내렸지만, 파도의 높이가 최고 1m 이내로 잔잔해 순항했다.

당초 세월호는 시속 13∼18.5km의 속도로 모두 105㎞를 운항해 오후 2시 30분쯤 목포신항 도착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소요시간을 1시간 넘게 단축됐다.

세월호는 동거차도, 서거차도를 지나 불도, 평사도와 쉬미항 사이, 장산도와 임하도 사이를 차례로 통과했다. 이후 시하도 서쪽을 지난 뒤 달리도 남쪽해역을 거쳐 목포 신항에 도착했다. 

2017033101002369600114902.jpg
반잠수식 선박 화이트마린호에 실린 세월호가 31일 침몰 1080일 만에 전남 목포시 목포신항만으로 들어오고 있다. /연합뉴스

미수습자 가족들도 3년 동안 지냈던 팽목항 숙소를 정리하고, 소형선박에 올라 세월호의 '마지막 여정'을 뒤따랐다.

목포신항에 도착한 세월호는 이후 육상 거치 작업이 이뤄진다. 세월호를 고정한 용접부위 50곳을 분리하고, 배수작업 등 하역준비에 사흘, 특수 운송장비인 모듈 트랜스포터를 세월호 밑으로 넣어 육상으로 옮기는 데 하루 등 총 나흘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작업 일정은 기상 상황과 장비 상태가 최적화됐을 때를 가정한 것이어서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세월호가 육상에 거치 되고 나면 미수습자 9명을 찾기 위한 수색작업과 침몰원인 등 각종 의혹 규명을 위한 선체조사가 진행된다.

/박주우기자 neojo@kyeongin.com